미국 의회가 국방수권법(NDAA)에 중국 기업의 5G(5세대)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에 미군과 군사 장비를 배치하는 것을 재고하도록 하는 조항을 새로 넣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안보 동맹과 경제 파트너십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에 놓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6일 워싱턴발로 “미 의회가 2021회계연도 국방수권법 최종안에서 화웨이와 중싱(ZTE) 등 중국 업체들의 5G 기술이 사용되는 나라에 미군과 장비를 보내는 것을 재고하도록 국방부에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미 의회는 수일 내로 이 법안을 처리할 예정이며, 이는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 역시 여야로부터 취임 뒤 대중국 강경 조처를 유지하라는 막대한 압력을 받게 될 것임을 보여주는 또다른 신호”라고 덧붙였다.
전직 미국 정보 분석가인 랜드연구소의 수 김은 “이 법이 통과되면 한국과 같은 미국의 동맹국이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할 수 있다”며 “한국은 워싱턴과의 안보 관계와 베이징과의 무역 동반자 관계 사이에 끼어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비록 당장 미국 정부가 군사 장비를 (추가로) 한국으로 옮기는 것은 아니더도, 한국은 화웨이의 5G 네트워크를 포함시켜 중국이 감시하거나 민감한 통신에 끼어 들어올 가능성을 감수할 지 결정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에는 결국 안보냐 경제냐의 문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통신업체 가운데 엘지유플러스는 여전히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8월 중국 정보기술(IT)과 기업을 퇴출하려는 ‘청정(클린) 네트워크’를 발표한 뒤 한국의 동참을 요구해왔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