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합의 복구를 위한 미국과 이란 등 합의 당사자국 전원 회담이 6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가운데, 이란 대표인 아바스 아라그치 외무차관(왼쪽)이 회담 뒤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의 일방적인 탈퇴로 사실상 파탄난 이란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 행동계획)를 복구하려는 국제적인 노력이 본격화됐다.
미국과 이란을 포함한 합의 당사국들은 6일(현지시각) 이를 복구하려는 회담을 열어, ‘건설적인’ 출발을 보였다고 <워싱턴 포스트> 등 언론이 회담 참석 관리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란은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 시절인 2015년 7월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와 독일 등 6개국(P5+1) 및 유럽연합(EU)과 ‘이란이 핵개발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대가로, 미국과 유럽연합이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해제’하는 데 합의했다.
이란의 수석대표인 아바스 아라그치 외무차관은 회담 뒤 이란의 <프레스 텔레비전>과 회견에서 “성공했다고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면서도 첫 협상들을 “옳은 궤도”라고 평가했다. 이는 그 동안 핵합의 복귀에 대한 이란의 강경한 자세를 감안하면 긍정적인 평가다. 그는 미국을 향해 이란의 조처에 상응하는 단계적 조처보다는 먼저 제재를 해제하라는 기존 요구를 반복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아라그치 외무차관이 진전이라고 평가한 것을 환영하면서도 트럼프 전 행정부가 이 합의 탈퇴 뒤 다시 부과한 이란 제재의 틀을 해체하는 어려움을 인정했다. 그는 “우리는 앞으로 어려운 협상이 있으리라는 점을 알고 있으나, 이는 앞으로 나아가는 건강한 발걸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록 거리를 두더라도 외교적 접촉은 본래의 합의를 준수하겠다는 바이든의 공약을 완수하는 최선의 길”이라고 말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우리는 긴 과정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외교적 경로가 앞으로 가는 옳바른 경로이고, 모두에게 이익이라고 계속 믿는다”고 이란의 핵합의 복귀에 희망을 표시했다.
영국·독일·프랑스·러시아·중국·유럽연합을 포함한 합의 당사국들이 모두 참가하는 이 회담에서 미국과 이란은 직접적인 양자협상을 하지 않고, 유럽 국가들의 중재를 통해 협상한다. 유럽연합 고위 외교관인 엔리케 모라가 협상의 조정자 역할을 맡는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 합의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한 이후, 미국과 이란이 공식 석상에서 핵합의 복구를 논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일부터 시작된 이번 회담은 9일까지 계속된다. 엔리케 모라는 “미국을 포함한 모든 관련 당사자들과의 개별적 접촉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