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12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삼성전자 등 전세계 주요 기업 19개 대표들을 화상으로 연결해 반도체 공급망 확충에 관해 연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각) 삼성전자 등 전세계 주요 기업들에게 “우리의 경쟁력이 당신들이 어디에 어떻게 투자하느냐에 달렸다”며 미국에 공격적으로 투자해줄 것을 요청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화상으로 열린 ‘반도체 및 공급망 회복에 관한 최고경영자(CEO) 정상회의’에 참석해 “오늘 내가 여기 있는 이유는 우리가 어떻게 미국내 반도체 산업을 강화하고 미국의 공급망을 보장할 것인지 말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날 회의는 백악관의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주재하고, 지나 러만도 상무장관도 참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의 후반부에 잠시 참여해 발언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티에스엠시(TSMC), 마이크론, 글로벌파운드리 등 세계적 반도체 회사들과 미국의 구글 모회사 알파벳, 에이티앤티(AT&T), 델, 제너럴모터스(GM), 휴렛패커드(HP) 등 반도체·통신·자동차 19개 기업이 참여했다. 삼성에서는 최시영 사장이 참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회의에서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과의 경쟁을 강조하면서,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세계적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해줄 것을 요청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민주당과 공화당의 상·하원 의원 65명으로부터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강화 계획을 지지하는 서한을 받았다면서 “중국 공산당은 반도체 공급망을 지배하려고 공격적으로 계획하고 있다”는 편지의 한 대목을 소개했다. 그는 이어 “중국과 세계는 기다려주지 않고, 미국인들이 기다려야 할 이유도 없다”며 “우리는 반도체와 배터리 같은 분야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고, 중국이나 다른 이들도 그렇게 하고 있다.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자신의 ‘미국 일자리 계획’ 및 기반시설(인프라) 투자와 연결지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조2500억달러의 기반시설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반도체 산업 강화를 위한 예산도 포함했다. 바이든 정부는 반도체와 배터리를 전략품목으로 지정하고 공급망 점검을 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의에서 도로나 교량 외에 반도체, 배터리, 브로드밴드 등도 모두 기반시설이라고 강조하고 “핵심적으로 필요한 것에서 다시는 다른 나라의 자비에 의존하지 않게 미국의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내 계획은 수백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미국을 재건하고 우리의 공급망을 보호하고, 미국의 제조업을 재활성하며, 미국의 연구·개발을 다시 위대한 엔진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21세기에 세계를 다시 이끌 것”이라고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회의에 참여한 기업 대표들에게 “우리의 경쟁력은 당신들이 어디에 어떻게 투자하느냐에 달렸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라며 “그동안 미국이 연구·개발에서 뒤쳐졌는데, 직설적으로 말해서 우리는 향상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나는 ‘미국 일자리 계획’을 통과시켜 미국에서 한 세기에 한 번 나올 투자를 만들어내기 위해 당신들 모두 및 의회와 협력할 준비가 돼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는 혁신을 제공하고 돌파구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이 일을 해내기 위해 여기 화면에 있는 모든 이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는 당신들이 미국의 모든 분야에서 미국 노동자들과 커뮤니티를 지원해주는 게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는 전세계가 자동차나 컴퓨터용 반도체 칩 공급 부족으로 미국의 주요 자동차 기업 등이 조업을 중단하는 등의 사태가 벌어지는 가운데 백악관이 마련한 자리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번 회의의 목적은 부족 사태를 다루는 것을 우리가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에 관해 기업 지도자들과 진정으로 상의하기 위한 것”이라며, 특정한 결정이나 발표를 위한 자리는 아니라고 말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관련기사
https://www.hani.co.kr/arti/economy/it/98942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