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분기별 국내총생산 증가율. 중국국가통계국 누리집 갈무리
중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18.3%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초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급격한 경제 위축과 최근 급격한 정상화 등이 두루 반영된 결과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중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24조9300억위안(약 4100조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8.3%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이 1992년 분기별 국내총생산을 발표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중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이 이렇게 높은 것은 기저효과의 영향이 크다. 코로나19의 충격이 컸던 중국의 지난해 1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사상 최저인 -6.8%까지 떨어졌다. 이후 중국 정부의 강력한 통제책으로 코로나19가 통제되고, 고강도 부양책 등이 나오면서 중국 경제는 꾸준히 회복됐다. 지난해 2분기, 3분기, 4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각각 3.2%, 4.9%, 6.5%를 기록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회복세였다.
다른 경제지표도 급격히 증가했다. 올해 1분기 산업생산, 소매판매, 고정자산투자는 각각 지난해 동기 대비 24.5%, 33.9%, 25.6% 올랐다. 3월 말 기준 도시 실업률도 5.3%로 전달의 5.5%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기저효과가 워낙 큰 탓에 지난해 동기 대비가 아닌 전 분기 대비 수치에 주목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국가통계국이 공개한 수치는 경제가 봉쇄된 지난해와 비교돼 왜곡됐기 때문에 경제 성장 동력을 살펴보려면 전 분기 대비 수치를 보는 것이 낫다“며 “전 분기 대비 경제성장률은 0.6%로, 앞선 분기의 2.6%보다 낮아졌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6% 이상’으로 다소 보수적으로 잡았는데 전문가들과 국내외 주요 기관은 중국이 올해 8%대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한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