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그 해리슨
해리슨 등 “단기적 에너지 공급으로 적당
오는 7~8일 판문점에서 열리는 경제·에너지협력 실무그룹 제2차 회의를 앞두고 한·미·중·일·러 5개국의 에너지 전문가들은 북한에 대한 단기적인 에너지 제공은 석탄 산업 지원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셀리그 해리슨(사진) 윌슨센터 동북아석유·가스협력 프로젝트 국장은 2일 “북한의 석탄채굴 부문과 관련 수송망의 현대화, 대규모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외부지원 방안은 비핵화 협상에서 북한에 제시할 매력적인 협상카드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열릴 에너지 실무그룹에서 이 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한반도 전문가인 해리슨 국장은 지난달 윌슨센터와 한국에너지연구원이 공동주최한 ‘대북 에너지 지원 : 화석연료 선택과 비핵화’라는 주제의 에너지 전문가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합의한 권고사항을 정리한 ‘북한 에너지 미래의 핵심 쟁점’이란 논문을 통해 이렇게 주장했다.
여러 대안 가운데 시베리아와 사할린에서 이어지는 송유관이나 가스관은 건설에 많은 기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북한은 북-미 관계 정상화 이전에 송유관의 북한 통과를 군사적으로 취약하다고 판단하고 있어 비핵화 협상에서 상정할 수 있는 협상 카드가 아니라는 주장이다. 또 서한만의 대륙붕 유전 등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대북 제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국제금융자본을 끌어들일 수 없는 단점이 있다는 것이다. 단기적 효과만을 노릴 때는 러시아와 중국에서 석탄을 도입하거나 전력망을 연결하는 방법이 가장 저렴하고 손쉬운 방법일 수 있지만, 석탄 매장량이 풍부한 북한이 대외의존 강화라는 점에서 선호하는 방안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북한의 비핵화를 유인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북한이 지정하는 우선지역에 500~600메가와트 수준의 최신 석탄화력발전소 몇기를 건설해 주는 것이라는 데 참석자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해리슨 국장은 말했다. 해리슨 국장은 북한에 대해 석탄의 긴급 수입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설득하는 한편 △기존 석탄화력발전소 개선 △기존 석탄광산 재건·복구 △관련 수송망 현대화 방안도 함께 권고했다.
해리슨 국장은 “석탄처럼 우라늄 매장이 풍부한 북한은 경수로에 대한 열망을 버리지 않고 비핵화의 진전에 따라 경수로에 대한 논의를 조건지우려 할 것”이라며 “석탄 부분 지원에 대한 대체방안으로서가 아니라 이와 병행해서 민간부문의 원자력협력을 추구하려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회의에는 류지철 동북아에너지연구센터 소장, 알리스터 퍼거슨 TNK-BP 부사장, 가네키요 겐수케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소 소장, 알렉세이 마스테파노프 가즈프롬 부사장 고문, 샤위샹 중국에너지전략센터 소장, 임홍근 한국석유공사 대륙붕탐사처장 등 19명이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