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정상회의에 미 참가 주장 방침
일본이 오는 12∼14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중·일)’ 정상회의와 제1차 동아시아 정상회의를 앞두고 참가국들로부터 따돌림을 받고 있다. 동아시아의 주도권을 놓고 중-일 간의 신경전이 한층 치열해지는 가운데 벌어지는 일이다.
중국은 4일 1999년 아세안+3 정상회의 때부터 해마다 열려온 한·중·일 정상회의를 연기한다고 밝혔다. 연기 사유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불쾌감의 표시로 보인다. 이에 고이즈미 총리는 5일 “야스쿠니 문제는 더는 외교카드가 될 수 없다”고 강조하고, “회담 연기는 그쪽 사정”이라고 되받아쳤다.
일본은 또 동아시아 정상회의에 미국을 끌어들일 것을 주장해 마찰을 빚고 있다. 고이즈미 총리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투명성과 개방성 △민주주의와 자유·인권 등 보편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미국의 존재가 동아시아 평화와 안정에 불가결하다”는 인식을 표명할 방침이라고 <산케이신문>이 4일 보도했다. 이는 동아시아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신문은 풀이했다.
이에 대해선 중국과 개최국인 말레이시아가 반대하고 있다. 미국은 동아시아 국가가 아니라는 것이다. 추이톈카이 중국 외교부 아주국장은 5일 “중국은 동아시아 공동체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아세안이 주도적인 구실을 할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마하티르 전 말레이시아 총리는 4일자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에서 “일본은 인도, 호주, 뉴질랜드에 더해 미국까지 참가하기를 바라지만 그렇게 되면 동아시아라고 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도쿄 베이징/박중언 이상수 특파원 park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