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4월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하며 “4월 현재 제작 완성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할 수 있도록 최종 준비를 끝내며 앞으로 연속적으로 군사정찰위성을 다각 배치”하라고 지시했다고 19일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북한 당국이 31일~다음 달 11일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해왔다면서 강력히 자제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29일 ‘북한이 위성이라고 칭하는 탄도미사일 발사 통보에 관한 총리 지시’를 통해 “미국이나 한국 등 관련국과 협력해 북한이 발사를 하지 않도록 자제를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며 “정보 수집과 분석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통보를 받은 일본 해상보안청은 잔해물 등의 낙하가 예상되는 해역이 서해 2곳, 필리핀 동쪽 해상 1곳 등 3곳으로 모두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바깥쪽이라며 이 지역에 항행경보를 내리고 통행하는 선박에 주의를 당부했다.
북한은 일본 뿐 아니라 국제해사기구(IMO)에도 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일본 해상보안청과 국제해사기구에 오는 31일 0시부터 다음 달 1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통보했다”며 “북한이 인공위성으로 명명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 2016년 2월 이후 약 7년 만이 된다”고 전했다. 북한은 앞선 1998년 8월, 2009년 4월, 2012년 4월·12월, 2016년 2월 등 여러 차례 인공위성을 발사해 왔다. 가장 최근인 2016년 2월엔 월 8~25일 중에 인공위성 ‘광명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하고, 이후 일정을 같은 달 7~14일로 수정한 뒤 7일에 발사했다.
북한은 앞선 4월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완성됐다고 밝힌 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6일 ‘비상설 위성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 지도한 뒤 위원회의 ‘차후 행동계획’을 승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곧 위성 발사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이어져 왔다.
일본은 인공위성 발사에 쓰이는 기술과 탄도미사일 발사에 쓰이는 기술이 사실상 같다며, 이번 통보를 인공위성이 아닌 탄도미사일 발사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마다 야스카즈 방위상은 지난달 22일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와 관련해 요격미사일 등 부대 전개를 위한 명령을 내린 상태다.
<엔에이치케이>는 “북한이 1990년대부터 우주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주장 아래 ‘인공위성 발사’로 칭하며 사실상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거듭해 왔다”고 지적했다. 방위성 관계자도 이 방송에 “북한이 발사한 어떤 물체도 인공위성으로 기능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장거리 탄도미사일 기술을 높이기 위한 발사”라고 말했다.
북한은 2017년 7월 처음으로 사거리 5500㎞ 이상인 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을 발사했고, 지금까지 가능성이 있는 것까지 포함해 총 13회를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