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총리 공개사과’ 요구
지난해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를 통과한 뒤 본회의 상정이 무산됐던 초당적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이 31일 다시 하원에 제출됐다.
일본계 4선 의원인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민주·캘리포니아)은 이날 “일본을 후려치거나 모욕을 주려는 게 아니라 그런 악행에서 살아남은 몇 남지 않은 사람들에게 정의를 되찾아주고, 오랫동안 모른 채 넘겨왔던 중대한 인권침해를 조명하자는 것”이라고 결의안 제출 뜻을 밝혔다. 올해의 결의안은 “일본 정부가 역사적 책임을 명백하게 공식 인정하고 사과할 것”을 촉구한 지난해 결의안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일본 총리가 공개성명을 통해 공개적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혼다 의원을 포함해 에드워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크리스토퍼 스미스(공화·뉴저지), 다이앤 왓슨(민주·캘리포니아), 데이비드 우(민주·오리건), 필 헤어(민주·일리노이), 매들렌 보댈로(민주·괌) 등 7명의 의원들이 공동서명했다.
결의안은 일본 정부의 ‘배상’ 문제를 직접 언급하지 않는 대신 “국제사회의 권고를 따를 것”을 촉구했다.
하원 외교위의 톰 랜토스 위원장과 일리애나 로스레티넌 공화당 간사뿐 아니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도 결의안 통과를 지지하고 있어, 외교위를 거쳐 하원 본회의에서 채택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 지난해 결의안은 국제관계위(외교위의 전신)를 통과했으나 데니스 해스터트(공화) 당시 하원의장이 본회의 상정을 미뤄 제109대 회기 종료와 함께 폐기됐다.
한편, 일본 정부와 자민당은 주일대사를 지낸 토머스 폴리 전 하원의장을 로비스트로 고용하는 등 결의안 채택을 막기 위한 로비와 외교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