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야마 다키치 기자
‘미-일, 71년 오키나와기지 뒷거래’ 실무자 증언 나와
마이니치신문 니시야마 다키치
정권 공작에 체포돼 유죄판결
증언 실무자 “정부도 인정해야” 미-일 정부가 오키나와 반환협정에 조인한 다음날인 1971년 6월18일. 당시 외무성을 출입하던 <마이니치신문>의 니시야마 다키치(사진) 기자는 ‘오키나와 반환 미-일 밀약설’을 폭로하는 특종기사를 보도했다. “미국이 내기로 한 미군기지 반환지역의 원상회복비 400만달러를 일본이 대신 갚아준다”는 밀약의 존재를 시사하는 내용이었다. 특종의 대가는 혹독했다. 다음해 3월 사회당 의원들이 오키나와 반환(72년 5월15일)을 앞두고 니시야마로부터 입수한 극비문서를 토대로 사실관계를 추궁하자, 자민당 정권은 사실 부인을 넘어서 ‘뒤집기 공작’에 착수했다. 72년 4월4일 니시야마와 그에게 기밀문서를 넘겨준 외무성의 여성 사무관을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각각 교사 및 기밀유지 위반)로 체포했다. 특히 검찰은 기소장에서 니시야마가 유부녀인 여직원에게 접근해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뒤 문서를 입수했다며 그를 부도덕한 인간으로 몰고 갔다. <마이니치신문>은 기소장이 제출되던 날 사과문을 게재하고 추적보도를 중단했다. 그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신문사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니시야마는 지칠 줄 몰랐다. 74년 1심 무죄판결이 2심에서 뒤집힌 뒤 78년 최종 유죄판결을 받았다. 2000년 밀약을 입증하는 미 공문서가 발견된 이후 2005년 제기한 국가배상소송에서도 패소했다. 그러나 그는 지지자들과 함께 2007년 3월 밀약정보공개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그리고 지난 1일, 37년 만에 그의 명예는 회복됐다. 반환협상 당시 실무책임자였던 요시노 분로쿠(91) 전 외무성 미국국장이 이날 증인으로 나와 “미국 쪽과 (밀약을 담은) 문서를 교환했다”고 밝힌 것이다. 37년 전인 72년 12월 재판에서 검찰 쪽 증인으로 나와 밀약을 부인했던 자신의 발언을 완전히 뒤집은 것이다. 그는 또 오키나와 반환협정에 명시된 일본 정부의 대미 반환금 3억2000만달러 안에는 토지대금 원상회복금 400만달러, 오키나와에 있던 <미국의 소리> 방송 중계국 이전비용 1600만달러 등 미국 정부가 지급해야 하는 금액도 포함됐다고 인정했다.
니시야마는 2시간에 걸친 증언이 끝난 뒤 퇴정하는 요시노 전 국장에게 환한 미소로 악수를 건넸다. 지난 세월의 원망 같은 것은 없었다. 요시노 전 국장은 재판 뒤 기자회견에서, 증언 번복 이유에 대해 “과거를 망각하거나 역사를 왜곡하는 것은 국민에게 마이너스”라며 “이제 (정부도 밀약의 존재에 대해) 인정해야 된다”고 말했다. 도쿄/김도형 특파원 aip2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