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나오토 일본 총리가 10일 오전 각료회의를 거쳐 일본의 한국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죄하는 내용의 담화를 발표했다.
담화에서 “금년은 한·일관계에 있어서 커다란 전환점이 되는 해”라고 운을 뗀 간 총리는 “3.1 독립운동의 격렬한 저항에서도 나타났듯이, 당시 한국인들은 그 뜻에 반해 이뤄진 식민지 지배로 국가와 문화를 빼앗기고, 민족의 자긍심에 깊은 상처를 입었다”고 일제의 식민지배를 사과했다.
간 총리는 이어 “아픔을 준 쪽은 잊기 쉽고, 받은 쪽은 이를 쉽게 잊지 못하는 법”이라면서 “이러한 식민지 지배가 초래한 다대한 손해와 아픔에 대해, 여기에 재차 통절한 반성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사죄의 심정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간 총리는 이러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이러한 “향후 100년을 바라보면서,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구축해 갈 것”을 약속했다. 간 총리는 그 일환으로 “지금까지 실시해 온, 이른바 사할린 한국인 지원, 한반도 출신자의 유골봉환 지원 이라는 인도적 협력을 금후에도 성실히 실시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간 총리는 이어 “일본이 통치하던 기간에 조선총독부를 경유해 반출돼 일본 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조선 왕실의궤 등 한반도에서 유래한 도서와 문화재를 한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여 가까운 시일에 반환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간 총리는 “한·일 양국은 21세기에 있어 민주주의 및 자유, 시장경제라는 가치를 공유하는 가장 중요하며 긴밀한 이웃국가가 되었다”고 두 나라 관계를 평가했다. 간 총리는 이어 “양국은 장래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염두에 둔 지역의 평화와 안정, 세계경제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핵 군축 및 기후변화, 빈곤 및 평화구축 등과 같은 과제까지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폭넓게 협력해 지도력을 발휘하는 파트너 관계”라고 밝혔다.
간 총리는 담화의 결론으로서 “이런 커다란 역사의 전환점을 계기로 한·일 양국의 유대가 보다 깊고, 보다 확고해지는 것을 강하게 희구함과 동시에 양국 간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결의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e뉴스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