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료전원 도쿄 비상대기
자위대 경계태세도 강화
자위대 경계태세도 강화
북한의 연평도 포격 사건에 대응해 한국과 미국이 28일부터 서해에서 연합군사훈련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일본 정부는 북한의 재공격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각료 전원의 도쿄 도내 비상대기를 지시하고, 자위대의 경계태세를 강화했다.
간 나오토 총리는 28일 휴일임에도 위기관리센터가 설치된 총리 관저로 출근해 센고쿠 요시토 관방장관, 기타자와 도시미 방위상, 마에하라 세이지 외무상 등을 불러 한-미 연합훈련 상황과 북한의 동향을 보고받고 향후 대응책을 논의했다. 간 총리는 “경계를 늦추지 말고 확실하게 대응하도록 내각에 지시했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간 총리는 이에 앞서 지난 26일, 모든 각료에게 27일부터 훈련이 끝나는 다음달 1일까지 원칙적으로 도쿄 도내에서 대기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만일의 사태가 벌어질 경우, 한 시간 안에 각료회의가 가능하게 대처하라는 뜻으로 일본 언론들은 해석하고 있다. 간 총리의 지시에 따라 각료들은 도쿄 도내를 떠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는 정보 수집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자위대의 경계태세를 강화했다. 일본 언론들은 육해공 자위대 사령부가 배치인력을 늘려 24시간 가동 체제로 정보 수집과 분석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PC3초계기와 전자정보정찰기(EP3) 등에 의한 경계태세도 강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중조기경보기(AWACS)와 이지스함도 비상대기 상태다.
후쿠시마 데쓰로 관방 부장관은 이날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해 “(북한의 도발로) 핵문제를 둘러싼 6자회담 복귀의 길이 점점 멀어지고 있다”며 “(북한을) 제재해도 진전이 없는 만큼 다른 접근 방식을 검증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