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에 각료급 회의 열어 안보·테러·경협 논의키로
동중국해·인도양서 군사력 확대하는 중국 ‘압박’도
동중국해·인도양서 군사력 확대하는 중국 ‘압박’도
미국과 일본, 인도 세 나라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인도양에서의 안전보장 문제를 협의할 ‘미-일-인도 전략대화’를 창설하기로 방침을 굳혔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5일 보도했다. 세 나라간 전략대화는 군사력을 확대하고 해양 진출을 활발히 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는 의미가 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요미우리신문>은 “3국은 올해 상반기에 국장급 협의를 시작해, 조기에 각료급 회의를 여는 것을 목표로 전략대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전략대화에서는 안보 외에 테러 대책, 경제협력, 에너지 분야 협력방안 등을 폭넓게 협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문은 이어 “3국은 해상교통로의 안전 확보, 우주개발, 인터넷 이용 등 아직 국제규범이 확립돼 있지 않은 분야의 규정 만들기 작업도 서둘러, 동아시아 정상회의 등 다자간 협의 틀을 통해 국제기준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요미우리신문>은 특히 해상교통로의 안전 확보는 테러 위협에 대한 대응뿐 아니라 해군력을 증강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대응의 의미도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베트남이나 필리핀 등과 영유권을 둘러싸고 대립하고 있으며, 자국 어선 보호를 내세워 함정을 파견하는 등 군사적 움직임을 활발히 하고 있다. 이 신문은 “항해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도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움직임에 경계를 높이고 있고, 일본과 인도도 동중국해와 인도양에서 중국과 마찰을 겪고 있기 때문에, (전략대화 창설에는) 3국간 연계 강화로 중국에 국제 규범을 준수하도록 압박하겠다는 목적도 있어 보인다”고 해석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 안에는 일본-미국-한국, 일본-미국-오스트레일리아, 일본-미국-인도라는 ‘세개의 삼각형’으로 중국을 견제한다는 구상이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은 그동안 중국과 인접한 인도와 경제·안보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해왔다. 지난해 6월에는 원자력협정의 교섭을 시작하기로 했고, 10월에는 자유무역협정의 일종인 경제협력협정(EPA)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군사 협력을 위해서도 외무·국방 2개 부처의 차관급 회담을 정기적으로 열기로 합의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