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서 시작해 시차 두고 영향
식료품·에너지 값이 물가 올려
식료품·에너지 값이 물가 올려
식량과 에너지를 중심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시작된 물가상승이 선진국에서도 본격화하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정리한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 등 5개국의 물가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6월에는 종합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핵심물가(식료품 및 에너지를 뺀 물가) 상승률을 0.1~0.7%포인트 웃도는 데 그쳤지만, 11~12월에는 0.7~1.1%포인트나 웃돌았다”고 보도했다. 선진국에서도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이 물가수준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물가 상승폭이 가장 큰 곳은 재정위기 영향으로 유로화 가치가 크게 떨어진 유럽 지역이다. 지난해 12월 유로권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달에 견줘 2.2%나 올랐다. 일본에서도 식료품 및 에너지를 포함한 종합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10월 플러스로 돌아섰다. 핵심물가는 0.9% 떨어지며 2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지만, 식료품 물가가 전년 같은 달에 견줘 1.6% 올라 종합물가를 끌어올린 까닭이다.
물가 상승은 애초 세계적인 유동성 확대로 투기 자본이 유입된 개발도상국에서 시작됐다. 가계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식료품이 먼저 영향을 받았고, 에너지 가격 상승이 뒤를 따르고 있다. 식품 및 에너지의 국제가격 상승은 시차를 두고 선진국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물가 상승은 가계의 실질소득을 감소시켜 수요부진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경제활동 침체와 물가 상승이 함께 진행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져드는 악몽의 시나리오도 부정할 수만은 없게 됐다”고 전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