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원전사고 ‘최고 등급’
“유출량 3만~11만 테라베크렐” 언론 보도하자 ‘뒷북’ 대응
피난지역 확대 불가피…그린피스 “한심할 정도로 늦어”
“유출량 3만~11만 테라베크렐” 언론 보도하자 ‘뒷북’ 대응
피난지역 확대 불가피…그린피스 “한심할 정도로 늦어”
일본 원전사고 비상
일본 정부가 12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 등급을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ES) 가운데 최고인 ‘7등급’(대형사고)으로 뒤늦게 올린 데 대해, 뒷북치기라는 비판이 흘러나오고 있다. 너무 늦었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방사능 유출사고 초기 사고 등급을 4로 설정했다. 1999년 9월 이바라키현 도카이무라의 우라늄연료가공회사에서 핵연료를 가공하던 중 우라늄용액이 임계상태에 이르러 작업원 2명이 숨지고, 667명이 피폭당한 사고와 같은 수준으로 평가한 것이다.
하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원전 사고 발생 며칠 뒤부터, 미국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보다 이미 더 심각해졌다는 지적이 흘러나왔다. 프랑스 원전 당국이 3월14일 후쿠시마 원전의 사고 등급은 5에 이르렀고, 상황이 더 나빠진다면 6에 해당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힌 것이 대표적이다.
실제 원전 상황은 갈수록 악화했다. 1, 3호기에서 수소 폭발이 일어났고, 3월15일 2호기의 압력제어실이 파손돼 원전 외부의 방사능 유출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3월18일 사고 등급을 5로 한 단계 올리는 데 그쳤다.
사고 등급의 한 단계 차이는 방사능 유출량으로는 10배 차이다. 일본 정부가 뒤늦게 사고 등급을 7등급으로 올린 것은 방사능 유출량이 5등급 때보다 100배 많다는 것을 인정했다는 뜻이 된다. 일본 정부는 <아사히신문>이 지난 9일 원자력안전보안원을 인용해 “3월12일부터 24일 사이 1~3호기 원자로에서 새나온 방사능 물질의 양을 3만~11만 테라베크렐로 추정하고 있다”고 보도할 때까지, 유출량 추정치를 한번도 밝히지 않았다.
일본 정부의 뒤늦은 조처는 원전 주변 주민 피난지역의 확대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본 정부는 11일 그동안 옥내대피를 지시했던 원전 반경 20~30㎞ 지역 대부분을 ‘긴급시 피난준비 구역’으로 지정하고, 30㎞ 바깥에 있는 이타테무라, 가와마타마치, 가쓰라오무라는 한달 안에 조직적으로 주민을 피난시키도록 했다.
환경단체 그린피스 독일지부의 기후에너지 분야 책임자인 토마스 브로이어는 “그린피스는 3주 전부터 7등급으로 올릴 것을 요구했는데, 한심할 정도로 조처가 늦었다”며 “원전 반경 20㎞ 밖에 거주하는 임산부와 어린이, 원전 사고의 영향을 받는 주민을 위한 보호 조처를 강화하라”고 촉구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은 전했다. 에다노 유키오 관방장관은 이날 원전 사고가 심각한 국면에 이르게 된 데 대해 인근 주민과 국제사회에 사과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백혈병 유발’ 방사성 물질 스트론튬 검출됐다
■ [세상 읽기] 우리는 모두 카이스트에 산다 / 이원재
■ 박지성 ‘결승골’ 맨유 4강 이끌어
■ 2배 비싼 ‘신라면블랙’…농심, ‘검은 속셈’?
■ 농협 금융전산망 마비…전국 현금인출기 중단
■ 청취율 높고 광고 줄서는데…김미화 퇴출 가시화
■ 현대캐피탈 사태 집단소송 번질까
<한겨레 인기기사> ■ ‘백혈병 유발’ 방사성 물질 스트론튬 검출됐다
■ [세상 읽기] 우리는 모두 카이스트에 산다 / 이원재
■ 박지성 ‘결승골’ 맨유 4강 이끌어
■ 2배 비싼 ‘신라면블랙’…농심, ‘검은 속셈’?
■ 농협 금융전산망 마비…전국 현금인출기 중단
■ 청취율 높고 광고 줄서는데…김미화 퇴출 가시화
■ 현대캐피탈 사태 집단소송 번질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