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엔화 채권 3700억엔 발행
갑절 증가…“차입 다변화 영향도”
갑절 증가…“차입 다변화 영향도”
유럽의 재정위기가 장기화하면서 한국이 지난해 엔화표시 채권 발행을 전년보다 갑절로 늘렸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7일 보도했다. 유럽과 미국에서 조달이 어려워진 부분을 일본에서 보충했다는 것이다.
보도를 보면, 한국이 지난해 조달한 엔화표시 채권(일명 ‘사무라이 본드’) 발행액은 3700억엔(약 5조1000억원)으로 전년에 견줘 갑절로 증가했다.
한국 기업과 금융기관이 지난해 발행한 외화표시 채권액은 총 300억달러(엔화 환산 2조4000억엔) 규모로 이 가운데 엔화 채권은 19%에 이른다. 이는 전년의 11%에서 그 비중이 8%p 높아진 것이다. 반면 달러표시 채권의 비중은 67%에서 55%로 줄어, 달러표시 채권이 줄어든 만큼 엔화표시 채권이 늘어났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이 신문은 “한국은 무역비중이 국내총생산의 90%에 이르러 달러를 중심으로 한 결제용 외화의 수요가 큰 나라”라며 “유럽과 미국 투자가들이 유럽 재정위기가 심화돼 위험 회피에 나서면서 신흥국으로 분류되는 한국에 대한 투자에 신중해지자, 한국의 금융기관과 기업이 일본에서 엔화 조달을 가속화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7월 수출입은행이 800억엔 규모의 사무라이 채권을 발행한 뒤, 한국가스공사(300억엔), 산업은행(537억엔), 포스코(414억엔), 국민은행(300억엔) 등이 대규모 엔화 채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국내 기업·금융권이 발행한 엔화 채권은 통상 스왑을 통해 달러화로 전환해 들여온다. 엔화 채권 발행이 크게 늘어난 것은 금융당국이 건전성 확보 차원에서 외화 조달을 독려한 것도 주된 이유 중 하나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일본은 유동성도 풍부하고 저금리여서 상대적으로 자금조달이 용이한 측면이 있다”며 “위험관리 차원에서 유럽 쪽 조달을 줄이고 차입선을 다변화할 것을 독려한 것도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올해도 일본과 말레이시아, 증동 쪽에서의 차입 수요가 있겠지만 규모는 지난해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김회승 기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개독교’라 욕해도… 달걀로 바위치기라도…
■ 김재호 판사 “검찰이 기소하면 법원서 알아서 할것” 말했다
■ “님들아, 이번 테러는 제가 주도하겠삼” ‘초딩’ 여성부 공격
■ 김재철의 보복…‘북극의 눈물’ 팀 등 직원 법인카드 감사
■ 문재인 오전에만 5백여명과 악수 “4kg 빠졌다”
■ ‘개독교’라 욕해도… 달걀로 바위치기라도…
■ 김재호 판사 “검찰이 기소하면 법원서 알아서 할것” 말했다
■ “님들아, 이번 테러는 제가 주도하겠삼” ‘초딩’ 여성부 공격
■ 김재철의 보복…‘북극의 눈물’ 팀 등 직원 법인카드 감사
■ 문재인 오전에만 5백여명과 악수 “4kg 빠졌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