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북한이 4년 만에 정부간 접촉을 하게 됨에 따라, 이번 만남이 양국 국교 정상화의 최대 선결과제인 ‘납치 문제’ 협상 재개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일본은 2009년 9월 민주당 정부가 출범한 뒤 북-일 대화 재개를 조심스레 모색했다. 그러나 천안함 사태와 북한의 연평도 포격사건이 벌어진 뒤 한국 정부가 자제를 요청해, 비공식 접촉의 틀을 넘어서지 못했다.
양국 정부가 오는 29일 중국 베이징에서 갖기로 한 접촉은 남북관계가 그다지 개선되지 않은 가운데, 북한이 먼저 적극 나서고 이에 일본이 호응하면서 성사됐다. 북한은 지난해부터 ‘북한 지역에 남은 옛 일본군 유골’ 반환에 협조할 뜻을 밝히면서 일본에 접촉을 타진했다. 그 결과 지난 9~10일 적십자 접촉이 이뤄졌고, 유골 반환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를 협의하기 위해 정부간 접촉으로 이어지게 됐다.
후지무라 오사무 관방장관은 이번 만남을 “정부간 협의를 재개하기 위해 제반 현안을 폭넓게 다루는 예비회담”이라고 규정하며 “의제에는 납치 문제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납치문제 협상 재개에 대한 강한 기대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북한에 강경한 자세를 보이던 납치 피해자 가족들이 최근 들어 대화를 통한 해결 쪽으로 기울고 있는 것도 일본 정부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2002년 9월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일본인 납치에 대한 사과를 받아내고, 국교 정상화 교섭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2006년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을 이유로 일본이 대북 제재 조처를 발동하면서 협상은 추진력을 잃었고, 2008년 8월 이후엔 아예 접촉이 끊겼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런던 시민 “신아람 오심, 한국인들에 죄송”
■ 공사장 칠흑 속 미로…“빠져나온 사람들이 용하다”
■ 박근혜 경선캠프 벌써 ‘권력·노선투쟁’ 조짐
■ 티아라 효민, ‘화영 왕따설’ 질문에 끝내 눈물
■ 게토레이·새우깡 값 올리고 ‘듣보잡’ 제품은 내려 물타기
■ 방학 끝나가는데…한달치 무상급식우유 받아가라
■ [화보] 연재가 돌아왔어요!
■ 런던 시민 “신아람 오심, 한국인들에 죄송”
■ 공사장 칠흑 속 미로…“빠져나온 사람들이 용하다”
■ 박근혜 경선캠프 벌써 ‘권력·노선투쟁’ 조짐
■ 티아라 효민, ‘화영 왕따설’ 질문에 끝내 눈물
■ 게토레이·새우깡 값 올리고 ‘듣보잡’ 제품은 내려 물타기
■ 방학 끝나가는데…한달치 무상급식우유 받아가라
■ [화보] 연재가 돌아왔어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