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영유권주장 ‘새 해도’ 제출 이어
동중국해 일부 대륙붕 경계안 제출
노다 총리, 총회서 ‘맞불 연설’ 예정
동중국해 일부 대륙붕 경계안 제출
노다 총리, 총회서 ‘맞불 연설’ 예정
일본의 섬 국유화에 반발해 중국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 해역을 자국의 영해라고 주장하는 새 해도를 유엔에 제출하자,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가 이달 하순 유엔총회에서 직접 이에 대응하는 연설을 하기로 했다. 일본은 그동안 ‘센카쿠열도에는 영토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혀왔으나, 이 사안이 유엔 무대에서 거론되는 것을 결국 피할 수 없게 됐다.
<교도통신>은 노다 총리가 21일 민주당 대표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이달 하순 열리는 유엔총회의 일반토론 연설에서 영토·영해 문제는 ‘법의 지배 원칙에 바탕을 두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을 밝힐 것이라고 16일 보도했다. 노다 총리의 연설은 독도 및 센카쿠열도 문제에서 ‘국제법’에 따라 해결하자는 일본의 견해를 강조하는 내용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리바오둥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이에 앞서 지난 13일 영해 기선을 표시한 해도를 유엔에 제출했고, 반기문 사무총장이 이를 수리했다. 유엔 대변인은 “반 사무총장은 유엔 해양법 조약에 의거해 해도를 접수해야 한다”며 “어디까지나 중립적인 입장에서 정보를 취급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16일 유엔 해양법협약에 따라 ‘동중국해 일부 해역’의 대륙붕 경계안을 유엔 대륙붕한계위원회(CLCS)에 제출하기로 했다며, “중국 정부는 한결같이 중국의 동해 대륙붕이 오키나와 해구까지 연장된다는 주장을 펴 왔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동중국해 수역에 대해 중국 정부가 정한 3개월간의 금어기가 16일 정오에 끝남에 따라, 중국 어선들이 센카쿠열도의 ‘일본 영해’에 대거 밀려들지 않을까 잔뜩 경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중국 농업부는 지난 13일 “댜오위다오와 그 부속 도서를 포함한 관할 해역에서 상시적인 어민 보호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고, 14일엔 중국 해양순시선 6척이 이 해역에서 항해한 바 있다.
한편, 지난 13일 지병으로 쓰러진 니시미야 신이치 신임 중국대사가 16일 숨짐에 따라, 일본 정부는 후임 인사를 서두르기로 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선관위 “안랩 백신 무료 배포, 선거법 위반 아니다”
■ 안철수 중심으로 헤쳐모여?
■ 태풍 불어 배 떨어지면 농민 책임?
■ 이방인의 ‘리틀 시카고’ 그곳에 사람이 산다
■ 반미 시위 촉발시킨 동영상 제작자 “영화 만든 것 후회안해”
■ “집안일 많이 하며 죄악을 씻고 있어요”
■ [화보] 인혁당 사건 피해 유족들의 눈물
■ 선관위 “안랩 백신 무료 배포, 선거법 위반 아니다”
■ 안철수 중심으로 헤쳐모여?
■ 태풍 불어 배 떨어지면 농민 책임?
■ 이방인의 ‘리틀 시카고’ 그곳에 사람이 산다
■ 반미 시위 촉발시킨 동영상 제작자 “영화 만든 것 후회안해”
■ “집안일 많이 하며 죄악을 씻고 있어요”
■ [화보] 인혁당 사건 피해 유족들의 눈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