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일에 국교정상화 기념식 예정대로 개최 통보
중국 정부가 강력한 단속에 나서면서 18일 절정에 이르렀던 중국의 반일시위가 19일부터 급속히 진정되고, 중·일 양국간 공식 행사도 재개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해역에 해양감시선 및 어업감시선의 파견을 더 늘리면서, 이 해역의 긴장은 장기화돼가고 있다. 중국에서는 민간 차원의 일본제품 불매운동도 본격화하고 있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18일 중국 100여곳에서 열린 반일 시위가 19일에는 5곳에서만 열렸다고 20일 보도했다. 취소 가능성이 제기됐던 중·일 국교정상화 40주년 기념식은 예정대로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중국정부가 애초 계획대로 27일 행사를 연다고 일본에 통지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중국은 센카쿠열도 해역에 어업감시선과 해양감시선의 파견을 갈수록 늘려가고 있다. 일본 쪽 접속수역에 진입한 중국 정부 선박의 수는 19일까지 모두 16척으로 늘어났다. <아사히신문>은 중국 농업성 어정국의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감시선을 센카쿠열도 주변에 증강해 상시 순찰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야마다 요시히코 도카이대학 교수(해양정책)는 “동중국해에서 중국과 필리핀의 대치는 2개월간 이어졌다”며 “중국이 2~3년에 걸쳐 조금씩 센카쿠열도 일본 해역에 진출해올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해상보안청 순시선의 거의 절반을 이 해역으로 출동시킨 일본은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통관 지연 등 중국의 경제보복 움직임은 민간 차원의 일본 제품 불매운동으로도 번지고 있다. <중국기업보>는 중국기업연합회 등 경제단체가 19일까지 일본 제품을 사지 않는 애국행동을 호소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중국의 포털사이트 <시나닷컴>이 19일 실시한 인터넷 조사에서는 ‘앞으로 일본 제품을 사지 않겠다’고 대답한 사람이 88.7%에 이르렀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