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금 집중…중기·비정규직 제외
내수소비 회복 이어지기 어려울듯
내수소비 회복 이어지기 어려울듯
‘일본 경제가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날 수 있게, 기업들이 임금을 올려 달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적극적인 요청이다. 일본 대기업들이 최근 이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임금 인상이 기본급이 아닌 상여금에 집중되고, 중소기업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 전망은 밝지 않아 일본 정부가 바라는 내수 소비의 회복으로까지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아베 총리 정부는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에 대해 물가상승률을 2%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감한 통화완화를 단행하도록 요구해 관철시켰다. 또 5조엔에 이르는 공공사업 지출을 비롯해 13.1조엔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했다. 이런 정책이 실제 디플레이션 탈피로 이어지려면 내수 소비가 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임금을 올리도록 기업들에 요구한 것이다. 일본 기업들은 1월께만 하더라도 임금 인상에 소극적이었으나, 최근 소매업계와 서비스업계를 중심으로 호응하는 움직임이 퍼지고 있다.
편의점업체 로손은 상여금을 올리고, 젊은 직원들의 급여를 3% 인상한다고 지난 7일 사원들에게 밝혔다. 세븐일레븐은 1인당 평균 연봉을 12만엔 올리기로 했다.
상당수 제조업 대기업들도 13일 노동조합총연맹 렌고(연합) 등에 보낸 임금협상안에서 올해 임금을 올리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해 상여금 500%에 3만엔을 덧붙여 지급했던 도요타자동차는 올해는 500% 상여금에 30만엔을 추가 지급하겠다고 제시했다. 규정된 상여금을 삭감해 지급해오던 10개 자동차업체 가운데 9곳이 올해는 전액 지급을 공언했다. 엔화 약세로 실적 회복이 기대되는 까닭이다.
이런 움직임에도 소비가 지속적으로 회복될지에 의문을 던지는 목소리도 많다. <아사히신문>은 “봄 춘투시기에 제조업체의 임금이 오르면 그것이 노동자 전체로 퍼지는 과거의 ‘춘투 효과’가 작동하지 않게 됐다. 상여금이 오른다고 해도 올해에 그치고 실적이 회복되지 않으면 내년엔 임금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기본급이 오르지 않으면, 노동자들이 늘어난 급여를 (소비하지 않고) 저축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부분의 대기업 노조는 올해 기본급 인상을 요구하지 않았다. 대기업의 비정규직은 상여금 인상 대상에서 빠져 있다. 전체 임금노동자의 70%가 일하고 있는 중소기업도 실적 회복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해 임금 인상 전망이 그리 밝지 않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자살 고교생 상습폭행당했지만, 학교쪽 알고도 ‘뒷짐’
■ 대법 “광고중단운동, 조중동 업무방해 인정못해”
■ 재벌 변호해온 김앤장 출신을 공정위원장에
■ 멘토였던 윤여준, 안철수에 쓴소리 “아프리카에서 의료봉사 했어야”
■ 대원중 ‘사배자 학부모’ 매달 50만원 촌지
■ 자살 고교생 상습폭행당했지만, 학교쪽 알고도 ‘뒷짐’
■ 대법 “광고중단운동, 조중동 업무방해 인정못해”
■ 재벌 변호해온 김앤장 출신을 공정위원장에
■ 멘토였던 윤여준, 안철수에 쓴소리 “아프리카에서 의료봉사 했어야”
■ 대원중 ‘사배자 학부모’ 매달 50만원 촌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