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영토 갈등 빚는 동남아 이어
몽골 방문해 정치 군사 협력키로
원전이후 석탄 등 자원 확보 실리도
몽골 방문해 정치 군사 협력키로
원전이후 석탄 등 자원 확보 실리도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몽골을 방문해 ‘대중국 포위망’ 구축과 자원확보라는 두마리 토끼 사냥에 나섰다.
30~31일 몽골을 방문한 아베 총리는 30일 울란바토르에서 노로빈 알탕후야그 몽골 총리와 정상회담을 열어, 미국, 일본, 몽골 3개국이 참가하는 정책대화를 추진하기로 합의하는 등 중국 포위를 위한 공조의 틀을 마련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31일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 뒤 알탕후야그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법의 지배, 기본적 인권 등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와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며 중국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렸다.
중국과 국경을 접한 몽골과 정치·군사적 관계를 강화해, 중국의 ‘뒷마당’에서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의도가 읽힌다.
아베 총리는 취임 직후인 지난 1월 남중국해 분쟁 등으로 중국과 껄끄러운 사이가 된 동남아시아 3개국을 순방한 데 이어, 이번에 일본 총리로서는 7년 만에 몽골을 방문하는 등 중국 주변국을 상대로 정상외교를 강화하고 있다.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아베 총리의 이런 행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대두하는 중국을 견제하는 포위망을 형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방문의 경제적 초점은 몽골의 풍부한 광물자원을 확보하는 데 맞춰졌다. 아베 총리는 알탕후야그 총리와의 회담에서 일본 기업이 몽골의 석탄 등 광물 개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아베 총리는 “몽골은 자원대국이기 때문에 일본과의 기술협력은 양쪽 모두에 이익”이라며 “몽골과의 관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이후 국내 원전 대부분이 가동을 멈추면서 화력발전 의존도가 높아진 일본은 셰일가스, 액화천연가스(LNG), 석탄 등 에너지원을 조달하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일본은 울란바토르 시내 환경오염 완화를 위해 관련 기술을 제공하는 한편 몽골 화력발전소에 약 42억엔(약 496억원)의 차관을 제공하기로 했다. 일본과 몽골은 현재 협상중인 양국간 경제동반자협정(EPA)을 조기에 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