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집권 자민당의 핵심 간부가, 일본의 주변국 식민지 지배와 침략에 대해 사죄한 이른바 ‘무라야마 담화’ 가운데 ‘침략’이라는 표현에 문제가 있다며 ‘아베 담화’를 발표할 때 이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베 신조 총리가 국회에서 몇 차례 ‘침략’이란 표현에 문제제기를 한 속내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은 12일 후쿠이시에서 무라야마 담화와 관련해 “당시는 일본의 생존이 위험해져 많은 이가 자존자위가 국가의 의사라고 생각하고 전쟁에 나갔다. 나 자신은 ‘침략’이라는 표현이 들어간 무라야마 담화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베 내각이 계속되면 전후 70년(2015년)에 ‘아베 담화’를 발표할 것이다. 전쟁에서 손해를 보거나 고통을 받은 국가에 대해 죄송하다는 생각은 확실히 표현하겠지만, 무라야마 담화와는 약간 표현이 달라지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무조사회장은 한국 정당의 정책위원회 의장에 해당하는 자리로, 대표 및 간사장과 함께 당의 핵심 간부 3명 가운데 하나다.
다카이치 정조회장은 12일 오전 <엔에이치케이>(NHK) 방송 프로그램에서도 무라야마 담화가 ‘국책을 그르쳐 침략과 식민지 지배로 치달았다’고 인정한 대목에 대해 “당시 자원이 봉쇄된 상태에서 일본이 저항하지 않고 식민지가 되는 길을 선택하는 것이 최선이었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아베 내각이 태평양전쟁 전범을 처벌한 도쿄재판의 결과를 인정하느냐는 질문에 “아베 신조 총리의 국가관, 역사관은 (역대 내각과) 다른 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2차대전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에 대한 각료들의 참배도 옹호했다.
아베 신조 총리의 침략 관련 발언이 한국·중국 등의 비판을 받자,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10일 기자회견에서 “침략 사실을 부정한 적은 없다”며 수습에 나선 바 있다. 그러나 자민당 핵심 간부가 정면으로 이를 뒤집고 나섬에 따라, 역사인식 논란은 한동안 가라앉기 어려워 보인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윤창중 기자회견에, “뻔뻔함에 치가 떨려”
■ 윤창중 와인바 나온 뒤 2시간 동안 뭐했나?
■ 입 벌어진 매팅리 감독 “류현진은 장인”
■ [화보] 한반도에 또 핵항모 ‘니미츠’ 입항
■ 윤창중 귀국 항공편 예약지시는 누가?
■ 윤창중 기자회견에, “뻔뻔함에 치가 떨려”
■ 윤창중 와인바 나온 뒤 2시간 동안 뭐했나?
■ 입 벌어진 매팅리 감독 “류현진은 장인”
■ [화보] 한반도에 또 핵항모 ‘니미츠’ 입항
■ 윤창중 귀국 항공편 예약지시는 누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