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부품 등 점검 소홀’ 이유
운전을 위한 준비작업도 안돼
운전을 위한 준비작업도 안돼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가 ‘안전 불감증’을 이유로 고속증식로 몬주(사진)에 대해 곧 ‘무기한 사용정지’ 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아사히신문>이 13일 보도했다.
<아사히신문>는 “몬주를 운용하는 일본원자력개발기구가 내규를 위반해, 1만개 가까운 기기에 대한 점검을 게을리 한 것을 원자력규제위가 심각하게 판단해, 안전관리 체제를 전면적으로 고칠 때까지 운전 재개를 허용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전했다.
후쿠이현 쓰루가시에 있는 몬주는 1995년 냉각재로 쓰는 액체 나트륨을 유출한 사고를 일으킨 바 있다. 당시 원자력규제위는 사고 내용에 대해 허위 보고한 책임을 물어 1년간 운전정지를 명령했다. 그러나 사용정지 명령을 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용정지 명령을 받으면 운전을 위한 준비작업도 할 수 없다.
고속증식로는 플루토늄과 우라늄의 혼합산화물을 원료로 쓰면서 가동과정에서 새롭게 플루토늄을 생산(우라늄238을 플루토늄239로 전환)한다.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시설과 함께 ‘핵연료주기’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설비다. ‘꿈의 원자로’로 불렸지만, 실제로는 잦은 사고에 시달리고 있다. 몬주는 나트륨 유출사고 뒤 장기간 운전을 못하다 15년 만인 2010년 5월 운전을 재개했으나, 석달 만에 핵연료 교환장치가 원자로 안으로 떨어지는 사고가 일어나 운전을 중단한 채 수리를 해왔다. 올해 안으로 운전을 재개할 계획이었다.
<아사히신문>은 지난 9월 원자력안전보안원의 검사 결과 몬주의 주요 부품에 대한 안전검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이 발견됐다.
또 10월에 일본원자력개발기구가 자체조사를 한 결과 10년 이상 점검하지 않은 기기가 9847개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고도의 안전성이 요구되는 핵심 기기가 55개 포함돼 있었다고 전했다. 신문은 “원자력규제위가 무기한 사용정지를 결정한 것은 일본원자력개발기구의 뿌리 깊은 안전 경시 체질 때문”이라며 “몬주를 핵심으로 한 핵연료 주기 정책이 벼랑끝에 서게 됐다”고 보도했다. 몬주의 건설과 운전에는 지금까지 1조엔(약 11조원)의 국비가 투입됐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청와대 “윤창중 노 팬티” 폭로 속내는?
■ “야동 아니고 누드 봤다” 웃음 자초한 심재철
■ 피고인 욕설에 “개XX야” 욕설로 맞대응한 검사
■ 성폭행을 응징한 역대 최고의 복수는?
■ [화보] 박근혜 대통령 “윤창중 성추문 죄송”
■ 청와대 “윤창중 노 팬티” 폭로 속내는?
■ “야동 아니고 누드 봤다” 웃음 자초한 심재철
■ 피고인 욕설에 “개XX야” 욕설로 맞대응한 검사
■ 성폭행을 응징한 역대 최고의 복수는?
■ [화보] 박근혜 대통령 “윤창중 성추문 죄송”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