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
“일본군 위안부 필요했다” 이어 또 망언
아베 정권 각료들 하시모토 발언 일제히 비판
주일미사령관 “미국 법이 금지하는 일”
아베 정권 각료들 하시모토 발언 일제히 비판
주일미사령관 “미국 법이 금지하는 일”
하시모토 도루 일본유신회 대표(오사카 시장)가 ‘옛 일본군 위안부는 필요했다’고 발언한 데 이어, 이달 초 오키나와의 미군 후텐마 기지 사령관에게 ‘병사들이 성적 에너지를 헤소할 수 있게 풍속(매춘)업소를 이용하면 어떻냐’고 말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본이 발칵 뒤집혔다. 일본 정부는 발언을 거세게 비판하면서 파문 진화에 나섰다.
14일 <아사히신문> 보도를 보면 하시모토 대표는 13일 밤 오사카시에서 기자들에게 “위안부 제도는 아니더라도 풍속업소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달 초 후텐마기지를 방문했을 때 사령관에게, ‘성욕을 합법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곳은 일본에도 있으니까, 좀 더 적극적으로 그런 곳을 활용하지 않으면 병사들의 성욕을 통제하기 어려운 것 아니냐, 그냥 하는 애기가 아니다. 좀 더 활용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당시 미군 사령관은 “미국 법이 금지하는 일이다. 더는 말하지 말라”고 했다고 하시모토는 전했다.
하시모토 대표는 이에 앞서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는 “위안부 제도가 필요했다는 건 누구나 안다”는 말로, 옛 일본군 위안부 동원을 사실상 정당화했다.
아베 신조 내각의 각료들은 이를 일제히 비판하고 나섰다. 시모무라 하쿠분 문부과학상은 14일 내각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하시모토 대표의 발언에 대해 “당을 대표하는 사람의 발언이라고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그는 하시모토의 ‘주일미군 풍속업소 이용’ 발언에 대해 “저잣거리 아저씨가 아니지 않느냐. 좀 더 (자신의 위치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이나다 도모미 행정개혁상도 이날 회견에서 “위안부 제도는 여성의 인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고 비판했다.
시모무라 장관은 1차 아베 내각에서 관방부장관을 맡고 있던 2007년 한 방송 프로그램에 나와 “종군간호부나 종군기자는 있었지만, 종군위안부는 없었다”고 발언한 바 있는 인물이다. 이나다 행정개혁상도 2005년 한 방송에서 “도쿄재판(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도조 히데키가 ‘국민에 대해 패전 책임은 지겠지만, 국제법상 잘못한 것은 없다’고 말했는데 정말 옳은 말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하는 등 역사인식 문제로 논란을 빚은 인물이다. 이런 인물둘이 나서서 하시모토의 발언을 비판한 것은, 이 발언으로 일본과 한국 등 주변국 사이세 역사인식 문제가 다시 논란의 초점으로 떠오르는 것을 우려한 때문으로 해석된다.
일본 정부는 하시모토 대표의 발언과 관련해 한국 등 관련국에 일본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야당 대표의 발언이기에 정부 입장에서 코멘트할 일은 아니다”면서도, 하시모토의 발언이 한국, 미국 등과의 외교에 영향을 줄 가능성에 대해 “정부의 입장을 외교경로를 통해 열심히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대답했다.
미군 후텐마 기지가 있는 오키나와의 지역지 <류큐신보>은 하시모토의 발언을 1면 머릿기사로 싣고, 현내 여성단체들이 “여성은 물론이고 남성에 대해서도 모욕적인 발언이라고 비난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하시모토는 14일에도 자신의 발언을 그대로 밀고나갔다. 후텐마 기지의 미군 사령관이 자신의 제안을 일축한 데 대해 그는 이날 트위터에 “미국은 일관되게 공창제도를 부인하고 있지만, 일본의 법률로 인정된 풍속업소를 이용하면 된다”고 썼다. 이시하라 신타로 일본유신회 공동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에게 “군과 매춘은 한 덩어리다. 역사의 원리같은 것이다”면서, 하시모토를 거들고나섰다.
한국의 시민단체인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상임대표 윤미향)는 일본의 위안부 관련 역사왜곡 움직임에 정념으로 대응할 태세다. 정대협은 18일부터 27일까지 옛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88), 길원옥(86) 할머니와 함께 일본 최남단 오키나와를 시작으로 히로시마, 후쿠야마, 오카야마, 오사카, 나라, 도쿄까지 일본 순회증언집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19일 오키나와에서 열리는 현민대회에는 1만명 이상이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