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간 이지마 내각관방 참여
18일까지 고위급과 면담 추진
18일까지 고위급과 면담 추진
일본 정부가 한국이나 미국 정부에 사전 통보하지 않고 이지마 이사오 내각관방 참여(고문)를 북한에 보내 북한과의 접촉에 나선 것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납치문제 등을 둘러싼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다고 판단한 때문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15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이지마 참여의 방북에 대해 “정부로서는 노코멘트”라며 말을 피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와의 회담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자, “납치문제를 해결하는 데 정상회담이 중요한 수단이라면 그런 것을 당연히 생각하며 교섭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만나는 일 자체가 목적이 돼서는 안 된다”고 전제하면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가 북한을 방문해 5명의 납치 피해자가 귀국할 수 있었고, 그 가족도 나중에 귀국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의 이런 발언은 일본 정가에 떠돌던 ‘아베 6월 방북설’이 아베 정부의 실제 기대를 반영한 것임을 엿보게 한다.
그러나 일본 정부의 계산대로 북한이 움직일지는 미지수다. <산케이신문>은 14일 평양에 도착한 이지마 참여가 18일까지 현지에 머물게 된 이유에 대해 “체제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북한의 송일호 국교정상화 교섭 담당 대사(국장급)보다 고위급인 북한 관리와의 면담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로동신문>은 15일 ‘지금부터라도 이성을 가지고 과거청산에 나서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며, 납치문제를 둘러싼 북-일 교섭은 국교정상화와 연결시켜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핵실험으로 국제사회의 제재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일본이 한국, 미국의 동의 없이 납치문제를 넘어 국교정상화 교섭에 나서기란 쉽지 않다. <아사히신문>은 “한국, 미국 정부는 이지마의 방북을 사전에 통보받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일본에 불신감을 갖고 있다”는 외교 소식통의 말을 전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 대통령 몰래 기내 대책회의? LA 이동중 보고 가능성 커
■ ‘박원순 제압’ 문건, 원세훈 지시 가능성
■ 안철수쪽 금태섭·정기남 10월 재보선 출마 시사
■ “밥 할까 빵 할까” 낭만돋는 경양식
■ 진영 복지부 장관, “올해 안 담뱃값 인상 어렵다”
■ 박 대통령 몰래 기내 대책회의? LA 이동중 보고 가능성 커
■ ‘박원순 제압’ 문건, 원세훈 지시 가능성
■ 안철수쪽 금태섭·정기남 10월 재보선 출마 시사
■ “밥 할까 빵 할까” 낭만돋는 경양식
■ 진영 복지부 장관, “올해 안 담뱃값 인상 어렵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