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물가가 주도 0.4% 올라
임금은 정체 서민부담 커져
소비세 인상 재검증하기로
임금은 정체 서민부담 커져
소비세 인상 재검증하기로
일본은행이 디플레이션(물가하락 속의 경기침체) 탈출을 목적으로 과감한 금융완화를 실시중인 가운데, 일본의 소비자물가가 1년2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년 동월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엔화 약세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의 영향이 커서, ‘디플레이션 탈출’ 조짐이라기보다는 서민 생활의 부담이 커지는 성격이 짙다. 일본 정부는 내년 4월부터 단행하기로 한 소비세 인상 방침을 재검증하기로 했다.
일본 총무성이 26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는 전년 동월 대비 0.4% 올랐다. 일본 소비자물가가 상승한 것은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이다. 상승폭은 2008년 11월(전년 동월 대비 1.0%) 이후 최대다.
아베노믹스를 시행중인 일본 정부는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는 등 경기가 활성화하면서 소비자물가가 상승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물가 상승은 엔화 약세로 인한 수입 에너지 및 식품·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이 크다. 전기요금은 상승세가 이어져 전년 동월 대비 9.8% 올랐고, 도시가스 요금도 4.7% 올랐다. 휘발유는 6.4% 상승했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물가지수는 0.2% 떨어져, 하락폭은 줄고 있지만 여전히 ’하락’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구마노 히데오 제일생명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물가 상승은 임금 상승을 동반하기 어려워서, 소비자들의 생활에 부담이 된다”고 <도쿄신문>에 말했다.
현행 5%인 소비세율을 예정대로 내년 4월에 8%로, 2015년 10월엔 10%로 올리면 물가 상승률은 한층 가팔라지게 된다. 일본 정부는 소비세 인상이 경기회복세를 꺾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예정대로 인상할 것인지를 재검증하기로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아베 정권이 소비세를 예정대로 2단계로 인상하거나, 처음에는 2%를 올린 다음 그 뒤 1%씩 인상하는 방안, 5년 동안 매년 1%씩 올리는 방안을 놓고 각각의 방안이 경기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기로 했다”고 전했다. 당분간 인상을 유보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새누리당은 ‘윤상현당’?…대표보다 힘센 ‘실세’
■ ‘노량진 수몰 참사’ 생존자 “잠 들려 하면 입 벌린 물살이…”
■ “도둑 맞은 민주주의 직접 찾으로 갑니다”
■ 중국 시골 마을에 짝퉁 천안문…‘진짜 같은 가짜’ 보러 관광객 몰려
■ [화보] ‘정전협정 60주년’ 맞은 평양에선 지금…
■ 새누리당은 ‘윤상현당’?…대표보다 힘센 ‘실세’
■ ‘노량진 수몰 참사’ 생존자 “잠 들려 하면 입 벌린 물살이…”
■ “도둑 맞은 민주주의 직접 찾으로 갑니다”
■ 중국 시골 마을에 짝퉁 천안문…‘진짜 같은 가짜’ 보러 관광객 몰려
■ [화보] ‘정전협정 60주년’ 맞은 평양에선 지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