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죄할 생각도 없다”며 버텨
여권서도 국제사회 고립 우려
여권서도 국제사회 고립 우려
‘헌법 개정 수법을 나치(2차대전을 일으킨 독일 히틀러 정권)한테서 배우자’고 한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재무상 겸임)의 발언에 대해 세계 각국에서 비판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본 야당들이 아소가 각료직이나 의원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며 책임 추궁에 나섰다. 아소 부총리는 사죄할 생각도, 사임할 생각도 없다고 맞섰다.
아소 부총리는 2일 오전 각료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나치 정권을 정당화하는 발언은 하지 않았다. 진의는 충분히 알 것이다. 사임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사죄 요구에 대해서도 “그럴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전날 총리실 주도로 아소 부총리가 신속히 발언을 철회하도록 해 파문을 조기 수습하려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사히신문>은 총리실 관계자가 “유대인 사회는 세계에 네트워크를 갖고 있고 미국 내 영향력도 크다. 일본이 우경화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중국과 한국에 미국이 동조할 경우 국제사회 전체를 적으로 만들게 된다”고 말했다며 “그러나 정권 2인자에 관련된 문제인 만큼 수습될지는 불투명하다”고 내다봤다. 미국의 유대인 인권단체가 아소의 발언을 정면 비판한 게 일본 정부를 긴장시킨 셈이다. 야당들은 아소 부총리의 사임을 요구하며 국회에서 이를 따지는 자리를 마련하라고 자민당을 압박하고 있다.
자민당은 야당의 요구를 거부할 것으로 보인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2일 기자회견에서 “당사자가 발언을 철회했으니 끝난 문제다. 견해나 가치관의 차이 같은 논의의 여지가 있는 문제가 아니다. 국회에서 논의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각료는 자신의 처지를 충분히 알고 오해받지 않게 신중히 발언해야 한다”고 말하는 데 그쳤다.
한편, 한-일 과거사 갈등과 관련해 미국 백악관의 시드니 사일러 한반도 담당 보좌관은 1일(현지시각) 재미 한인들을 초청해 마련한 국정브리핑에서 “미국은 항상 진실을 지지할 것이고, 특히 성노예(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같은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고 밝혀 일본 지도부의 역사 망언을 에둘러 비판했다.
도쿄 워싱턴/정남구 박현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한길 대표 “박 대통령, 나랑 일대일로 담판합시다”
■ 성재기의 기이한 죽음…그는 제2의 ‘미시마 유키오’가 되려 했나
■ 30명 성폭행·살해 ‘공포의 살인마’, 알고보니 그저 ‘과대망상’ 환자?
■ [화보] 195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해수욕장 풍경 변천사
■ [화보] 한집 같은 두집, 따로 또 같이 산다
■ 김한길 대표 “박 대통령, 나랑 일대일로 담판합시다”
■ 성재기의 기이한 죽음…그는 제2의 ‘미시마 유키오’가 되려 했나
■ 30명 성폭행·살해 ‘공포의 살인마’, 알고보니 그저 ‘과대망상’ 환자?
■ [화보] 195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해수욕장 풍경 변천사
■ [화보] 한집 같은 두집, 따로 또 같이 산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