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월 경제성장률 1.1% 그쳐
전기와 전망치에 비해 낮아져
설비투자 제자리·수출감소 탓
전기와 전망치에 비해 낮아져
설비투자 제자리·수출감소 탓
일본의 7~9월 실질 경제성장률이 연율로 1.1%에 그쳤다. 10~12월에는 성장률이 다시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있지만, 아베 신조 총리가 야심차게 추진해온 ‘아베노믹스’가 성장 잠재력을 높이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 내각부는 9일 7~9월 실질 경제성장률이 전기 대비 0.3%(연율 1.1%)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미리 발표했던 전망치 0.5%(연율 1.9%)보다 낮고, 지난 4~6월의 전기 대비 성장률 0.9%(연율 3.8%)보다 크게 낮아진 것이다. <교도통신>은 “설비투자가 제자리걸음을 한 것이 요인”이라며 “4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은 유지했지만 아베 정권 출범 이후의 높은 성장세는 둔화했다”고 분석했다. 설비투자는 전기 대비 증가율이 0.0%였고, 수출은 0.6% 감소했다.
내년 4월 소비세 인상을 앞두고 10~12월에는 세금이 오르기 전에 상품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많아 성장률이 다시 높아질 것이라고 일본 민간 경제분석기관들은 내다본다. 그러나 일본 경제가 앞으로 아베 정권 출범 초기와 같은 성장세를 구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뉴욕타임즈>는 8일 공공 공사가 활발한 규슈 사가현 현지 분위기를 전하면서 일본의 최근 상황이 지난 1990년대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이런 대규모 투자가 언제까지 계속될지 장담할 수 없어 건설회사들이 고용이나 투자를 늘리는 데 주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일본의 일부 경제학자들이 ‘대규모 공공 지출로 국가의 빚은 늘어나고 있지만 성장 잠재력은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아베노믹스가 단기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베노믹스는 지난해 12월 출범한 아베 내각이 추진해온 경제정책으로, 과감한 금융완화로 시장에 자금을 대거 공급해 디플레이션을 벗어나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경기부양 정책이다. 이 정책으로 엔화 가치는 큰 폭으로 떨어졌고, 도쿄증시의 닛케이평균주가는 큰 폭으로 올랐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