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신문 갈무리.
1면 칼럼과 2개면 할애 특집보도
“본인의사 반한 강제성 있다” 강조
일 우익세력에 ‘본질 직시를’ 경종
“본인의사 반한 강제성 있다” 강조
일 우익세력에 ‘본질 직시를’ 경종
<아사히신문>이 5일 1면 칼럼과 2개 면을 할애해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인간의 존엄성을 박탈한 것”이라고 지적하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을 부정하려는 일본 우익 세력들을 향해 경종을 울렸다.
1990년대 초부터 일본 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앞장서 알려온 이 신문은 이날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직시하자’는 제목의 1면 칼럼에서“피해자를 매춘부 등으로 폄하해서 자국(일본)의 명예를 지킬수 있다고 하는 일부의 논조가 한일 양국의 민족주의를 자극해 문제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며 “전쟁 중에 일본군 병사들의 성 상대가 되도록 강요당한 여성들이 있다는 사실을 지울 수는 없다. 위안부로서 자유를 빼앗기고 여성으로서의 존엄을 짓밟힌 것이 문제의 본질”이라고 지적했다.
아베 신조 총리 집권 뒤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했던 ‘고노 담화’ 검증 결과를 발표해 이 담화에 흠집을 냈고, <산케이신문> 등 극우 언론들은 일본의 책임을 부정하는 보도를 해왔다. <아사히신문>은 “아베 정권이 고노 담화 작성 과정을 검증해 보고서를 발표했고, 일부에서 ‘위안부 문제는 아사히신문의 날조’라는 식의 근거없는 비판이 일어났다”며 이에 대한 반론으로 특집 기사를 싣는다고 밝혔다.
2면에 걸친 해설 기사에서는 현재까지 발굴된 강제 연행의 증거와 강제성 논란에 대해 상세히 다뤘다.
이 신문은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반도와 대만에서는 군의 의뢰를 받은 업자가 ‘좋은 일이 있다’며 속여서 데려간 경우가 많았다”며 “군에 의한 강제연행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공적 문서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적었다. 하지만, “일본군의 점령지였던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등에서는 군이 현지의 여성을 폭력적으로 연행했다는 기록이 있다. 2002년 필리핀 정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필리핀에서 일본군이 현지의 여성을 폭력적으로 납치해 감금하고 집단 강간을 계속한 사례도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한반도와 대만 그리고 필리핀 등에서) 공통된 것은 여성들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서 위안부가 된 강제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아사히신문>은 2차대전 당시 제주도에서 다수 여성을 강제 연행했다고 증언한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사망)의 주장에 기반해 작성한 1980∼90년대의 자사 기사들은 취소한다고 밝혔다. <산케이신문> 등은 요시다의 주장이 거짓이라며,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를 공격해 왔다. <아사히신문>은 “1990년대 초에는 위안부 문제 연구가 (많이) 진행된 상태가 아니어서, 일부 기사의 사실 관계가 틀린 점에 대해서는 반성한다”면서도, “하지만 이런 이유로 ‘위안부 문제는 없다’,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사과할 이유가 없다’는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