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정기 수요집회에서 초등학생 이화윤양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에게 드리는 편지를 낭독한 뒤 이용수 할머니와 포옹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아사히, 이틀째 ‘위안부 특집’
과거 ‘강제동원 증언’ 기사 취소에
이시바 간사장 “의회서 검증 필요”
‘강제성 부정’ 우익세력들도 공세
과거 ‘강제동원 증언’ 기사 취소에
이시바 간사장 “의회서 검증 필요”
‘강제성 부정’ 우익세력들도 공세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인간 존엄성을 박탈한 것”이라며 일본 사회의 반성을 촉구한 <아사히신문>의 특집 기사에 대해, 일본 우익세력이 공격에 나섰다. 특히 신문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자사의 과거 기사에 일부 오류가 있었다고 인정한 점을 빌미 삼아, 우익 언론들은 위안부 문제로 일본이 부당한 공격을 받고 있다는 주장을 강화하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집권 자민당 간사장은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관련 기사에 대해 의회에서 검증할 뜻을 내비쳤다고 일본 언론들이 6일 보도했다. 이시바 간사장은 5일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과거 기사들은 “지역의 평화와 안정, 이웃나라와의 우호, 국민 감정에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의회에서 검증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사히신문>은) 일본에 대한 분노와 슬픔을 갖게 된 나라, 특히 한국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도 말했다. 관련자를 의회에 소환할 생각이냐는 질문에는 “우리 당의 담당자가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의회 소환 가능성도 열어뒀다.
<아사히신문>은 5일치에서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직시하자’는 특집 기사들을 내보내면서, 제주도에서 위안부 강제연행을 했다고 증언한 요시다 세이지의 주장을 1980~1990년대에 보도했으나 이 증언의 신빙성이 의심돼 해당 기사는 취소한다고 밝혔다.
일본 우익세력은 이를 위안부 모집의 강제성 자체를 부정하는 계기로 삼으려는 의도를 내비치고 있다. 극우인 <산케이신문>은 6일 “고노 담화는 근거 없이 작문됐다. 위안부가 강제연행됐다는 주장의 근거는 이미 무너졌다”고 주장했다. 고노 담화는 1993년 위안부 모집의 강제성을 인정한 일본 정부의 담화다. <산케이신문>은 이날 “<아사히신문>이 잘못을 인정하고 기사를 취소하는 데 30년 이상이나 걸린 탓에 국제사회에서 일본에 대한 나쁜 인상을 심었고 일본의 명예가 손상당했다”는 니시오카 쓰토무 도쿄기독교대 교수의 주장도 보도했다. 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하는 데 앞장서 온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도 이날 “(요시다 기사가 처음 나온 1982년부터) 32년간 잘못을 인정하지 않은 것은 <아사히신문>의 큰 죄”라며 “(요시다) 증언이 근거가 돼 (위안부) 강제연행이 있었다고 (일본이) 국제사회의 부당한 비판을 받아왔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5일에 이어 6일치에도 위안부 관련 특집 기사를 2개면에 걸쳐 보도했다. 6일 기사들 중에는 전문가 3인이 이 신문의 위안부 보도 기사를 평가한 글도 있었다. 아베 신조 정부의 고노 담화 검증 작업에 참여한 하타 이쿠히코는 기고문에서 “미군이 버마에서 조선인 위안부를 심문한 보고서를 보면 위안부가 한달에 300~1500엔을 벌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한국군이 베트남에서 저지른 성범죄에 대해서도 추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며 일본 우익의 시각을 드러냈다. 반면, 요시미 요시아키 주오대 교수는 자사 보도에 대한 검증 작업을 벌인 <아사히신문>의 보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피해자에게 다가가려는 자세가 지면에서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사히신문> 기사는 한일 양국 정부의 공방 끝에 위안부 문제가 악화됐다는 식으로 읽히는데, (위안부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피해자의 목소리를 확실히 직시하지 않으려는 일본 정부의 자세에 있다”고 썼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