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토야마 유키오(67) 전 일본 총리
‘위안부 강제성’ 발뺌하는 일 언론·정권에 쓴소리
“강제로 끌고 갔는가 보다 운영 사실 자체가 중요”
아베 신조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도 강하게 비판
“강제로 끌고 갔는가 보다 운영 사실 자체가 중요”
아베 신조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도 강하게 비판
하토야마 유키오(67) 전 일본 총리가 아베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강도높게 비판하고 일본 정부가 종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실체를 인정하고 사과와 함께 고령의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보상 등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9일 부산 해운대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아시아가 주도하는 새로운 아시아는 가능한가’라는 주제로 열린 ‘제10회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에서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는 “아베 수상이 야스쿠니신사에 참배한 것이 한일 및 한중 관계를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는 “누구든지 조국을 위해 희생한 존귀한 생명에 대해 애도의 마음을 바치는 것은 부정돼서는 안되지만 에이(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에 일본 수상이 찾아가 참배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다른 나라들이 거의 전쟁을 긍정한다고 받아들일지 모르기 때문에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굳이 일본 수상이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하려면 에이급 전범을 다른 곳으로 옮긴 뒤에 하라는 것이다.
그는 태평양전쟁 때 위안부 할머니들을 강제로 동원한 사실이 없다고 발뺌하고 있는 일본 언론과 아베 정권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그는 “일본 언론들이 위안부 자체를 부인하는 태도는 좋지 않다.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로 끌고 갔는가에 대한 논란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위안부를 운영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한일 양국의 대학생 의식조사에서 ‘일본정부가 피해자에 사죄와 보상을 해야한다’고 대답한 대학생이 일본에서도 64%, 한국에서는 98%에 이르렀다. 일본 정부는 고노 담화를 당연히 계승해야 하며 위안부 할머니들의 보상문제 해결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소수이기는 하지만 일본에서도 종군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관심이 있다고 소개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 시절 정부와 민간의 협력으로 설립한 아시아여성기금과 인터넷 아시아 지역 위안부 기념관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동아시아 공동체가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선 다양한 분야의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한·중·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고 한·중·일 3개 도시에서 다채로운 문화예술행사를 여는 동아시아문화도시를 만들며, 네트워크를 이용해 누구라도 공짜로 한·중·일의 대학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컴퍼스아시아를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하토야마 총리는 1986년 자민당에 입당하며 정계에 입문해 그해 치러진 훗가이도 선거구에서 중의원에 당선됐다. 93년 6월 민당 분열 당시 자민당을 탈당해 ‘반자민당’ 노선으로 돌아섰다. 96년 옛 민주당을 창당한 뒤 2009년 5월 대표를 맡다가 8월 치러진 중의원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며 54년 만에 정권 교체를 이뤄냈다. 하지만 정치자금 의혹 및 오키나와 후텐마 미군 기지 이전 문제 등의 문제로 불거진 정치적 지도력 부족과 정책 혼선 등의 책임을 지고 2010년 6월 2일 사퇴했다.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 기조연설
2014 한겨레-부산 국제 심포지엄 원탁토론
제10회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개막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