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규(사진) 주일 한국대사가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정권이 바뀌어도 (12·28) 위안부 한·일 합의를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누가 대통령이 되어도, 어떤 정권이 발족해도 (위안부) 합의는 확실히 지켜지는 게 바른 선택”이라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한일관계가 바른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 합의가 크게 바뀌지 않을 수 있게끔 차기 정권에 전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고 19일 <도쿄신문>이 보도했다.
<한겨레>가 지난해 12월28일 위안부 한일 합의 1주년을 맞아 주요 대선주자 10명을 상대로 이에 대한 견해를 물었을 때, 12·28 합의의 ‘계속 이행’이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1명도 없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등은 재협상을,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이재명 성남시장 등은 폐기를 주장했다. 바른정당 소속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도 재협상을 주장했다.
이 대사는 <도쿄신문>을 발행하는 <주니치신문> 나고야 본사 편집국장과의 이 인터뷰에서 “지난해 말 부산에서 설치된 (소녀상) 장소에 대해 일본 정부가 (주한 일본대사 귀국 등) 대응 조처를 취하며 한일관계가 어려워졌다”며 “매우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외교부장관은 외국공관 앞에 소녀상을 두는 것은 국제관례상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문제에 대해 양국 합의 정신에 입각해 대화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나가미네 대사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가 나가미네 대사의 귀임을 공식적으로 요청한 적은 없다. 하지만 일본대사가 한국에 없다는 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한국)는 일본 정부가 이 문제를 어느정도 중요시하고 있는지 이해했다. 한일 간에는 소녀상 외에도 협력할 문제가 많다”고 말했다.
30일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영사관 앞에 소녀상이 설치되고 있다. 동구청은 철거한 지 이틀 만에 소녀상을 반환했다. 부산/연합뉴스
이 대사는 19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누가 대통령이 되어도 위안부 합의를 지켜야 한다’고 말한 인터뷰 내용에 대해 “일반론적인 이야기를 한 것”이라며 “전 정권이 합의한 것이라도 다음 정권이 지키는 것이 맞다. 이는 국제적으로 확립된 관례”라고 말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