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가능한 조기에 성사시키기 위해 한국 쪽과 시점을 조율할 방침이라고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이 전했다.
<엔에이치케이>는 일본 정부가 도쿄 한중일 정상회담 또는 7월 독일에서 열릴 예정인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이용해, 한일 정상회담을 조기에 여는 방향으로 한국과 일정 조정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11일 전했다. 전날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통화에서 조기 정상회담 개최에 의견을 모은 데 따른 방침이다. 한중일 정상회담은 2008년 이후 각국이 번갈아가며 개최했는데, 지난해에는 일본이 의장국이었으나 한국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 남중국해에서의 일본과의 갈등으로 정상회담에 회의적인 중국의 태도 등 때문에 열리지 않았다. 일본 언론들은 일본 정부가 한중일 정상회담을 되도록 빨리 개최해 이때 별도로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싶어하지만 여의치 않으면 주요20개국 정상회의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여는 방안도 저울질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일본 언론들은 10일 양국 정상 전화 통화에서 문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 재협상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점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요미우리신문>은 익명의 정부 고위 관리가 “국내 여론 등을 언급한 문 (대통령의) 발언은 허용 범위”라고 말했다고 전藍다. 10일 전화통화에 대한 양국의 발표 내용은 미묘한 차이가 있다. 일본 정부 발표에서는 문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한국 국내에는 신중한 의견이 있다”고 말했다고 소개됐다. 한국 정부 발표로는 “우리 국민들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그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고 소개됐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