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일본 오키나와현 기노완시 소재 주일미군 후텐마 비행장의 모습. <한겨레> 자료 사진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반환된 지 15일 45주년이 됐지만, 미군기지를 둘러싼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의 인식 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2차대전 당시 일본에서 유일하게 지상전이 벌어졌던 오키나와는 1972년까지 미군 통치를 받았고, 복귀 뒤에도 주일미군 기지의 70%가 오키나와에 집중돼 있다.
<엔에이케이>(NHK)가 15일 오키나와의 일본 복귀 45주년을 맞아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오키나와 주민은 44%만이 ‘일본의 안전을 위해서 오키나와에 미군기지가 있는 것을 용인할 수 있다’고 답했고, ‘용인할 수 없다’고 답한 이는 48%에 달했다. 반면 오키나와를 제외한 일본인의 71%는 ‘용인할 수 있다’고 답했고, 20%만이 ‘용인할 수 없다’고 답해 큰 대조를 보였다. 이 여론조사는 지난달 21일부터 사흘간 18살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무작위 전화조사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오키나와에서는 1514명, 오키나와 외 전국에서는 1003명이 응답했다.
후텐마 미군기지를 오키나와 내의 또다른 장소인 헤노코로 이전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오키나와 주민 65%가 반대하고 찬성은 27%에 그쳤다 하지만 오키나와 외 지역에서는 찬성 47%와 반대 37%로 찬반 차이가 비교적 적었다. 오키나와 주민들은 후텐마 기지를 헤노코로 이전하는 것은 오키나와의 미군기지 부담 장기화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해 오키나와 밖 이전을 주장하고 있으나. 일본 정부는 헤노코 이전을 위해 해안 매립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
하지만 미-일 안전보장조약이 일본에 중요한가를 묻는 질문에는 오키나와 주민 65%와 다른 지역 주민 83%가 중요하다고 답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양쪽의 인식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일본의 평화를 위해서 주일미군을 인정한다는 점에서는 양쪽의 의견이 대체로 일치하지만, 부담을 누가 질 것이냐에서 인식의 차이가 발견된다. 오키나와 류큐대의 가베 마사아키 교수는 <엔에이치케이>에 “어떤 의미에서는 본토 사람들이 오키나와에 응석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오키나와가 조금 참아주면 되지 않을까 하고 말이다”라고 말했다.
일본 복귀 초기인 1970년대에는 오키나와 경제의 미군기지 의존성이 컸으나 최근에는 관광객 증가로 경제 구조 자체가 변했다. 연간 관광객 수가 876만명으로 1972년에 비해 16배가 됐고, 주민 총소득에서 관광 수입이 차지하는 비율은 미군기지 관련 수입의 갑절이다. 하지만 상대적 빈곤율이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 본토와의 경제적 격차는 여전하다. 지난해 야마가타대가 실시한 조사에서, 육아를 하는 세대 수입이 생활보호기준 이하인 비율이 전국 평균은 13.8%였는데, 오키나와는 37.5%로 최악이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