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일본 특사인 문희상 의원이 20일 귀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일본 특사로 파견됐던 문희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일 관계 개선에 대해 일본과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가장 첨예한 위안부 합의 문제는 수면 아래 가라앉아 있는 모양새다.
3박4일 방일 일정을 끝내고 20일 귀국한 문 의원은 김포공항에서 위안부 합의 재협상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재협상이라기보다는 미래지향적으로 슬기롭게 극복하자는 데 합의했다”고 말했다. 문 의원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만난 뒤인 18일에도 위안부 합의 재협상 내지는 파기라는 말을 꺼내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문 의원은 당시 “우리가 (위안부 합의) 파기하자는 그런 이야기는 안 하고 있다. 재협상하자는 이야기도 안 하고 있다”며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 (우리 국민이) 정서적으로 수용이 안 된다. 그걸 직시해라 그렇게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일본도 한국 대선 전에는 부산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는 등 강경했지만 특사단과의 만남에서 아베 총리는 “재작년 합의 이행”을 요구하는 선에서 그쳤다. 일본 언론은 한·일 양국이 한국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관계 개선을 우선 모색하고, 위안부 문제 등에선 초기부터 크게 대립하는 것을 피했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한·일이 “(위안부 문제 등) 현안은 봉인하고 대화를 우선시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탐색기가 지나면 위안부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올 가능성이 높다. 문 특사는 20일 기자회견에서 “(아베 총리와의 만남에선) 제3의 길을 언급하진 않았다”면서도 “(미래지향적으로 극복하자는 것이) 그 길이다”라고 말했다. 문 의원은 위안부 합의의 재협상이나 재확인이 아닌 제3의 길을 모색할 수 있다고 말해왔다. 그가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 오부치·김대중 선언 등을 중시해야 한다는 전제로 이야기했다”고 말한 점 등을 보면, 일본 정부의 추가 담화 발표나 아베 총리의 사죄 등 보충 조처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베 총리는 지난해 위안부 피해자에게 사죄 편지를 보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털끝만큼도 없다”고 말한 바 있다. 한국이 추가 조처를 요구해도 일본이 응할지 미지수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