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정상이 지난 8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회담하고 있다. 함부르크/신화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양국 정치와 경제 문제를 분리하자고 제안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시 주석이 지난 8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아베 총리와 만나 “정치적 과제를 하나하나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정치 문제가) 양국의 경제 관계 발전을 가로막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13일 전했다. 시 주석은 아베 총리가 중국 대외전략의 핵심 사업인 ‘일대일로’(육상·해상 신실크로드)에 협력할 수 있다고 하자 “그런 전향적인 자세를 구체적 프로젝트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시 주석이 일본 쪽에 ‘정경 분리’ 제안을 한 이유는 올 가을 제1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19차 당대회)를 앞두고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요미우리>는 풀이했다. 일본에서는 중국이 한-중-일 정상회담의 도쿄 조기 개최 제안에 난색을 표명한 이유도 19차 당대회 때문이라고 풀이하는 시각이 많다. 중국 지도부가 당대회라는 중요한 정치 행사를 앞두고 자칫 영토 문제 등 민감한 외교 문제가 터져나올 수 있는 정상회담을 회피한다는 시각이다. 시 주석은 아베 총리에게 정경 분리 제안을 함으로써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같은 영토 문제와 경제 문제를 분리해 위기 관리를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1차 내각 때인 2006년 중국을 방문해 양국이 체제와 가치관은 다르지만 정치·경제의 두 바퀴를 굴려 높은 차원의 관계를 만들어가자는 내용의 ‘전략적 호혜관계’를 후진타오 당시 중국 국가주석에게 제안했다. 이후 중국과 일본은 정치적 긴장 속에서도 경제 협력을 추진한다는 ‘전략적 호혜관계’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해 있다. 하지만 2012년 일본 정부가 사유지였던 센카쿠열도를 사들여 국유화한 이후 이런 전제에도 불구하고 양국 관계는 차가워졌다. 북한 문제에 대해서도 G20 회의에서 아베 총리가 중국의 대북한 원유 수출을 중단해달라고 요구했으나, 시 주석은 “독자 제재에 반대한다”며 거부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전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