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일본 도쿄에서 북한 미사일 일본 상공 통과를 알리는 뉴스가 나오는 대형 전광판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도쿄/AP 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15일 북한이 또다시 일본 상공을 관통한 미사일을 발사하자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지 1시간여 뒤인 오전 8시께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과 고노 다로 외상, 오노데라 이쓰노리 방위상 등이 참석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인도 방문을 마치고 귀국중이었다. 아베 총리는 귀국 직후인 오전 9시23분께 총리 관저에 나타나 “북한이 다시 폭거를 일으킨 데 대해 결코 용인할 수 없다. 안보리에 긴급회의 개최를 요청한다”며 “지난번 안보리 제재 결의가 완전히 이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다시 한번 분명해졌다. 북한이 이런 길로 또다시 간다면 밝은 미래는 없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북한 미사일 발사 3분 뒤 전국순간경보시스템인 ‘제이(J) 얼라트’를 통해 홋카이도와 도호쿠(동북) 지방의 12곳 광역자치단체 주민들에게 대피 요청을 했다. 7분 뒤 북한 미사일의 일본 상공 통과가 끝났다고 다시 알렸다. 지난달 29일 발표 때는 발사 경보와 상공 통과 종료 정보 제공까지 걸린 시간이 12분 정도였으나 이번엔 7분으로 단축됐다.
신칸센을 포함한 일부 열차는 지난달처럼 운행을 일시 정지했다. 제이아르(JR)는 홋카이도와 도호쿠, 조에쓰, 호쿠리쿠의 신칸센 운행을 아침 7시께부터 약 10분간 중단했다. 홋카이도 최대 도시 삿포로 지하철, 도쿄와 이바라키현을 연결하는 열차 쓰쿠바익스프레스는 10~20분간 운행을 정지했다.
제이 얼라트 경보 대상 지역의 일부 학교는 학생들에게 등교를 미루라고 요청하기도 했으나, 대규모 휴교 조처는 없었다. 지난달 29일 미사일 발사 때는 6개 광역자치단체의 8개 학교가 임시휴교를 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