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한국에 체류중인 일본인을 대상으로 이메일이나 휴대전화로 안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가동 중이라고 <마이니치신문>이 보도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정부가 한반도에 비상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일본인들의 안부와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지난달 30일 훈련까지 실시했다고 9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3개월 이상 국외에 체류하는 일본인에게 제출이 의무화돼 있는 휴대전화 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통해 군사적 충돌이나 테러 등 사안에 대해서 통지한다. 통지 내용에 이 시스템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가 적혀 있으며, 통지를 받은 일본인은 기재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해서 이름과 나이, 현재 위치, 부상 유무에 대해 응답하는 형식이다.
지난달 30일 서울에서 일본인 400명을 대상으로 훈련을 실시했고, 실제로 일부 응답을 받았다. 여행 등 단기 체류자의 경우에도 외무성 ‘다비레지’(여행 등록) 서비스에 휴대전화 번호 등을 등록한 사람의 경우에는 대상이 된다. 한국 체류 일본인 숫자는 약 3만8000명이다. 일본 외무성은 비슷한 서비스를 다른 나라에도 도입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지금까지 현지 일본인 상공회 등을 통해 만든 긴급 전화연락망을 통해 비상 사태나 사고 발생 시 안부를 확인해왔지만, 이번 서비스 도입으로 이메일이나 휴대전화 문자서비스(SMS)를 통해 신속하게 안부를 확인하게 된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최근 한국과 관련해 위험성이 있다는 정보를 자주 내보내 한국이 불안하다는 인식을 심고 있다. 일본 외무성은 지난 1일 국외 안전 누리집에 올린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대회 개최에 따른 주의 환기’라는 제목의 글에서 “한국의 치안은 비교적 안정된 상황이다. 하지만 주요한 범죄 (발생) 위험을 일본과 비교했을 때, 한국은 살인이 약 2.5배, 강도는 약 1.2배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적었다. 일본 외무성은 지난해 4월에도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주의가 필요하다며 한국에 가려는 자국민들에게 외무성 해외 여행 등록 서비스 등록을 당부하는 글을 누리집에 올렸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