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측근에 “각국과 연대하며 상황 지켜볼 것”
스가 관방 “대북 압력 최대한으로 높일 것”
북미 대화 진전으로 ‘저팬 패싱’ 우려 분위기도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P 연합뉴스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합의와 북한의 ‘비핵화’ 의지 표명 소식에 일본 정부는 “대북 압력을 계속 강화해야 한다”며 경계감을 나타냈다. 북한과 미국 간 대화가 진행될 경우 일본이 소외될 수 있다는 ‘저팬 패싱’에 대한 걱정도 엿보인다.
아베 신조 총리는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 의지를 밝힌 것에 대해 “각국과 연대하며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는 방침을 주변에 밝혔다고 <교도통신>이 7일 보도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가와이 가쓰유키 자민당 총재 외교특보는 아베 총리가 6일 밤 이런 방침을 전했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가와이 외교특보는 아베 총리가 “대북 제재가 효과를 올리고 있어 대화의 흐름이 된 것”이라고도 말했다고 전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7일 브리핑에서 “과거 북한과의 대화가 비핵화로 연결되지 않았다는 교훈에 충분히 입각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 대화를 위한 대화는 의미가 없다.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며 “계속해서 일-미, 일-미-한 3국이 협력하고 관계국과 연대하면서 북한의 정책을 바꾸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압력을 최대한으로 높이겠다”며 기존 일본의 입장을 되풀이했다. 대북 특사로 파견됐던 서훈 국정원장의 일본 방문과 관련해서는 한국 정부와 날짜를 조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과 핵무기를 포기하는 선에서 미국과 협의할 수 있다는 우려도 하고 있다. 일본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중·단거리 미사일이 논의 대상에서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익명의 일본 방위성 간부는 “미국과 북한의 교섭 중에 일본이 사정거리에 들어가는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문제는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전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