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부부와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부부가 지난해 2월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있는 트럼프 소유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만찬을 하기 위해 자리에 앉아 얘기를 나누고 있다. 팜비치/AF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7일부터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이틀간 정상회담을 한다고 밝혔다.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아베 총리는 납북자 문제를 비롯해 북한에 대한 일본의 입장을 미국에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2일 여당 자민당과의 당정협의에서 “제반 사정이 허락하면 이달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남부 플로리다주를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문제를 필두로 양국 관심사에 대해 이틀간 충분히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최대 과제인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에서 다뤄줄 것을 직접 요청하겠다”며 “미-일, 한-미-일 연계를 토대로 (납치 문제) 해결을 향해서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북한 핵·미사일 문제에 대해서는 “과거의 교훈에 입각해 보면 대화를 위한 대화는 의미가 없다.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인 방법으로 핵·미사일 폐기에 관여할 수 있고 (북한이) 구체적 행동을 취하게 하기 위해서 최대한의 압력을 유지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일본의 종래 입장인 ‘최대한의 압력’을 강조하면서, 남북, 북-미 정상회담 계획 등으로 조성된 대화 분위기를 견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지난 3월9일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5월 안에 하겠다는 의지를 밝히자마자 곧바로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겠다’고 밝혔다.
미-일 정상회담에서는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고율 관세 부과 유예 대상에서 일본을 빼놓은 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내에서는 한반도 대화 분위기에서 일본이 소외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북-일 정상회담 추진설이 나오고, 일본 정부도 그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는다. 다만 지금 상황에서 북-일 정상회담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 북한에 끌려갈 수 있다는 의견도 많아, 일본 정부는 일단 미-일 연대 강화에 힘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일 정상회담에 대한 부담도 존재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의 무역 분야 양보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