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다 고이치로(왼쪽) 코인체크 사장이 지난 1월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가상화폐 ‘넴’ 유출 사건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 교도 연합뉴스
일본 인터넷증권사가 역대 최대 가상화폐 도난 사건이 일어난 거래소 ‘코인체크’ 매수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 가상화폐 거래소 시장이 정보통신(IT) 회사와 금융회사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인터넷 증권회사가 중심인 모넥스그룹이 코인체크를 수십억엔 수준에서 매수하기 위해 최종 조정에 들어갔다고 4일 보도했다. 코인체크는 지난 1월 가상화폐 중 하나인 ‘넴’ 580억엔(약 5770억원)어치를 해킹으로 도난당한 회사다. 피해액이 역대 최다였고 피해를 입은 투자자가 26만여명이다. 지금도 피해 보상이 계속되고 있다.
모넥스그룹은 골드만삭스 출신 금융인과 소니가 공동출자해 1999년에 만든 모넥스증권을 중심으로 한 그룹이다. 모넥스그룹이 코인체크 주식 반 이상을 사들이고 코인체크 창업자인 와다 고이치로 사장 등 코인체크 주요 경영진은 이사진에서 제외하는 방향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코인체크의 가상화폐 도난 사건에도 불구하고 가상화폐 거래소 시장에 대한 주요 기업들의 관심은 식지 않고 있다. 라인이 거래소 등록 진행 절차를 밟고 있고, 야후도 자회사를 통해 거래소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정보통신이나 금융 기업 산하로 기존 거래소가 들어가는 방향으로, 가상화폐 거래소 재편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일본 금융청의 규제도 시장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금융청은 지난해 가을 가상화폐를 결제 수단으로 인정하지만, 안전 대책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한 업자에 한해 영업할 수 있도록 거래소 등록제를 시작했다. 거래소 등록제 시행 이전부터 영업을 해온 곳은 ‘간주 업자’로 영업을 계속할 수 있는 특례를 뒀지만, 금융청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영업을 포기하는 거래소가 나올 전망이다. 금융청이 코인체크 사건을 계기로 특별 점검에 나선 간주 업자는 8개인데, 이번주 안으로 몇곳이 업무정지 또는 개선 명령을 받을 전망이다. 일부는 등록 신청 자체를 취소하고 업계를 떠날 전망이다. 업계 내부에서도 일반적 금융업계에서는 당연한 거래 안전 장치에 대한 인식이 가상화폐 거래소 업계에는 결여돼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