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에서 아베 신조 총리가 질문을 한 기자를 가리키고 있다. 팜비치/AP 연합뉴스
미국과 일본 정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북핵 폐기 과정을 감시할 위원회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20일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과거 여러 차례의 비핵화 합의가 이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장치를 마련하려는 것이라며, 과거 북한에 대한 핵사찰을 주도한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인식이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이름을 밝히지 않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미-일 외교 당국이 대량파괴무기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이라크에 대한 대응을 참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엔은 1990년 걸프전을 계기로 이라크의 생물·화학무기를 사찰하는 대량파괴무기철폐특별위원회를 설치했으며, 1999년에는 유엔 감시검증사찰위원회로 전환해 이라크를 국제 감시 하에 뒀다.
<아사히신문>은 미국과 러시아가 시리아 문제로 대립하는 상황에서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미국 주도의 새로운 북핵 검증·폐기 기구에 어디까지 동조할지는 미지수라고도 전했다.
한편 아마노 유키야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19일치 독일 <쥐트도이체 차이퉁> 인터뷰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적이어서 (국제원자력기구에) 권한이 주어진다면 북한 핵시설을 사찰할 준비가 돼 있다“며 “핵프로그램을 해체하는 합의가 이뤄진다면 관련 시설의 해체는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국제원자력기구 사찰단이 북한에서 임무를 시작하기까지 준비 기간은 “몇달 씩 걸리는 일이 아니다. 몇주면 된다”고 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