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미야기현에서 지난해 드론을 이용해서 농약을 뿌리는 모습을 시연하는 모습. 유튜브 갈무리
일본 정부가 농촌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는 농사의 전체 과정을 자동화하는 실험에 나선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7일 농림수산성이 드론과 자율주행 농기계 등을 활용한 농작물 자동 재배 실험을 내년부터 실시한다고 보도했다. 실험은 정부가 자동 재배에 필요한 기계 개발과 도입비를 전액 보조해주는 방식으로 전국 30곳 이상 지역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내년 1월부터 쌀·야채 농가 등을 대상으로 참가자를 공모할 예정이다. 대규모 농가와 기업이 손잡고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공모에 참여하는 이들은 자동 주행 트랙터로 논밭을 갈고, 원격제어 장치로 물 관리를 하며, 농약을 드론으로 뿌리고, 자동 제초기로 잡초를 뽑고, 센서가 달린 콤바인으로 수확을 하는 자동화 방안을 마련해 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2년간 농업 자동화로 인한 수확량 변화 등을 공개해 첨단 농업 기술 도입과 자동화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일본 정부가 ‘농업 자동화’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것은 농업 인구 급감으로 농지가 황폐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농림수산성 자료를 보면, 농업취업인구(조사 전 1년간 농업에만 종사했거나, 겸업을 해도 농업 종사 일수가 더 많은 이)는 지난해 181만6000명으로 1985년(542만명)의 3분의 1로 줄었다. 전체 농업취업인구 중 65살 이상이 3분의 2를 차지한다. 이전에는 농사를 지었지만 최근 1년간 놀리고 당분간 경작 가능성도 없는 ‘경작 포기지’가 2010년 39만6000㏊에서 2015년 42만3000㏊로 늘었다. 2014년 농림수산성 설문조사에서 농가들은 농지 황폐화 원인으로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2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일본 정부는 농업 분야에 외국인 인력 유입을 확대하고 ‘스마트 농업’이라 불리는 자동화 사업을 벌이고 있다. 농업 자동화를 뒷받침하는 기술은 상당 부분 진전돼 있다. 2016년 위성항법시스템(GPS)을 기반으로 한 이앙기가 출시됐고, 드론을 이용해 농약 살포뿐 아니라 과수원에서 인공 수분을 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