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일본이 정상회담을 하기 위한 교섭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일본 언론들이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1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정상회담을 실현하기 위해서 여러 차례에 걸쳐서 수면 아래에서 교섭을 진행해왔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아베 총리가 8월 평양을 방문해 김 위원장과 회담을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의 평양 방문이 어려우면 9월 중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 때 김 위원장과 회담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북한과 일본이 북-미 정상회담 계획이 부상한 올 봄부터 극비리에 북-일 정상회담 관련 협의를 해왔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12일 밤 “북한과 직접 마주해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며 북-일 정상회담에 강한 의욕을 보였다.
<산케이신문>도 이날 북한과 일본이 정상회담을 본격 조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김 위원장이 12일 북-미 정상회담 때 “아베 신조 총리와 만나도 좋다”고 긍정적인 대답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했다고 익명의 일본 정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하면 경제제재는 풀리지만, 본격적 경제지원을 받으려면 일본과 협의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그리고 “아베 총리는 납치(일본인 납북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지원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이에 김 위원장이 아베 총리와 정상회담에 전향적 자세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익명의 정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뒤 귀국길에 오른 12일 밤 아베 총리와 한 전화 회담에서 김 위원장이 일본인 납북자 문제 등 일본과의 교섭에 열린 자세를 보였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는 북한의 비핵화와 동시에 납치 문제 교섭을 진행해야 한다. 일본도 메인 플레이어로 관여해주기를 바란다”고도 말했다고 전했다.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트럼프 행정부가 일본 정부에 북-일 국교정상화 교섭을 은근히 요구하는 모양새다.
북-일 정상회담이 실현되면 2004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재방북 뒤 14년만의 일이 된다. 그러나, 북한이 공식적으로는 일본인 납북자 문제는 2002년 고이즈미 총리 첫 방북 때 ‘8명 사망, 5명 생존’ 조사 결과 발표로 이미 해결된 사안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일본은 북한의 조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어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대한 양쪽의 입장이 큰 차이가 있다. 이때문에 북-일 정상회담이 가까운 시일 안에 실제로 실현될 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은 속단할 수 없다는 전망도 많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14일 기자회견에서 북-일 정상회담에 대해서 “현 시점에 결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어찌됐든 북-일 정상회담을 하는 이상, 북한의 핵과 미사일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납치 문제 해결에 연결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이 문제들) 해결로 연결되는 정상회담이 실현되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