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운데),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왼쪽)와 함께 지난달 9일 일본 도쿄 영빈관 가초노마에서 열린 제7차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한-중-일 정상회의를 올해 말 중국에서 다시 열자고 제안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전했다. 매년 한 차례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는 지난달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바 있어, 이 제안이 사실이라면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교도통신>과 <요미우리신문>은 18일 한-중-일 정상회의 차기 의장국인 중국이 오는 12월 베이징에서 회의를 열자고 한국과 일본 정부에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중 양국 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일-중-한 정상회의를 연내에 베이징에서 개최하기로 조정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도 ‘제안자’라고 전했다. 이 제안이 실현되면 한-중-일 정상회의가 사상 처음으로 한 해 2번 열리게 된다. 일본은 중국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은 전했다.
<교도통신>은 중국이 이런 제안을 한 것은 한-일 양국과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한 공조를 강화하면서 북한 문제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미-중 무역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점도 한-중-일 정상회의 연내 재개최 추진의 배경이라고 짚었다. 중국이 이 회의를 통해 자유무역의 중요성을 강조해 미국의 보호주의를 견제하려 한다는 것이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2008년부터 3국이 번갈아가며 의장국을 맡아 1년에 1번씩 열어왔다. 한국과 일본은 대통령과 총리가 참석하고, 중국은 국가주석이 아니라 국무원 총리가 참석한다. 2013년과 2014년에는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둘러싼 한-일 관계 악화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문제로 인한 중-일 대립으로 열리지 못했다. 2015년 11월 서울에서 다시 열렸지만, 2016·2017년에도 거르고 지난달에야 겨우 도쿄 회의를 개최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번 제안에는 한-중-일 정상회의의 틀을 빌려 중-일 정상의 왕래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전했다. 아베 신조 총리가 올해 말 한-중-일 정상회의를 위해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회담한 뒤, 2019년에 시 주석을 일본으로 정식 초청한다는 것이다.
시 주석은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그 전에 아베 총리가 먼저 베이징을 방문하면 G20 참석을 위한 시 주석의 방일을 아베 총리의 중국 방문에 대한 답방의 의미를 담은 ‘공식 방일’로 만드는 게 가능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중-일 정상회담은 2년 동안 열리지 않다가 지난 5월에 도쿄에서 개최됐기 때문에 중국에서 올해 한번 더 여는 방안을 거론한 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언제 하는지는 안 정해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도쿄/ 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