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 시민들이 지난 1월22일 일본 도쿄 분쿄구 도쿄돔시티에서 북한 미사일 발사를 대비한 대피 훈련을 하고 있다. 도쿄/AFP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비한 대피 훈련을 중단한다고 <교도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아베 신조 총리가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서 북-일 정상회담 실현에 의욕을 내비치고 있는 점이 배경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는 도치기, 나라, 구마모토 등 9개 현에서 올해 실시할 예정이었던 북한 미사일 발사 대비 주민 대피 훈련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이런 방침을 지방자치단체에 이미 전달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도치기현 야이타시는 중앙 정부가 “북-미 정상회담 등 국제 정세에 따른 판단”이라며 훈련 취소 통보를 20일에 해왔다고 밝혔다고 <산케이신문>이 전했다. 야이타시는 오는 26일 주민 5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전국순간경보시스템인 ‘제이(J) 얼럿’ 훈련 경보 및 이에 따른 대피 훈련을 할 계획이었다.
일본 정부는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이후 대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어 현 시점에서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정부 관계자는 “8월 실시 예정이었던 한-미 연합군사훈련(을지프리덤가디언)이 중지된 점”도 주민 대피 훈련 중지 배경으로 언급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북한 미사일 발사가 잇따르자 전국 각지에서 주민 대피 훈련을 벌여왔다. 북한 미사일이 일본에 낙하했을 경우를 가정해서, 시민들이 튼튼한 건물 안으로 피신하거나 땅에 엎드리라는 식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미사일이 떨어질 경우 이 정도 대처가 의미가 있느냐는 회의론이 많았다. 또한, 아베 신조 정부가 북한 위협을 필요 이상으로 자극해서 국내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비판이 나왔고, 시민단체들이 반대 시위를 벌인 적도 있다. 그럼에도 아베 정부는 지난 1월 도쿄에서 대피 훈련을 실시했고, 북-미 정상회담 이틀 전인 지난 10일에도 군마현에서 훈련을 벌였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