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왼쪽부터)과 고노 다로 일본 외상,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8일 도쿄에서 만나 서로 손을 잡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8일 북한 비핵화를 위한 북-미 고위급 협상에서 진전이 있었지만, 북한이 최종 비핵화를 이룰 때까지 대북 제재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일본 도쿄에서 강경화 외교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상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한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6~7일) 이틀간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과 선의를 갖고 회담을 했다”며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 약속을 확인했으며, 미군 유해 반환을 논의했다. 우리는 세계를 안전하게 만들 것이다. 하지만 우리 앞의 미래에는 어려움과 도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 외무성이 담화를 통해 “미국이 일방적이고 강도적인 비핵화 요구만을 들고 나왔다”고 비난한 데 대해서 “우리의 요구가 강도 같으면 전세계가 강도다. 왜냐하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무엇을 성취할 필요가 있는지 만장일치로 결정했기 때문”이라며 “전세계가 미국이 제재를 계속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비핵화 시간표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했고, 이를 시행할 것이라고 본다. 아직 할 일이 많다. 북한은 미사일 엔진 시험장 해체를 약속했다. 중요한 것은 빠른 시일 내에 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는 비핵화로 나가는 굉장히 중요한 조처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번 방북 때 김 위원장과 만나지 못한 것과 관련해서 “김 위원장을 만나는 것을 꼭 기대하지는 않았다. 나는 일을 하러 갔고,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일을 했다”고 말했다.
고노 다로 일본 외상은 “한-미-일 3국이 공조해서 북한이 핵무기와 모든 대량파괴무기, 그리고 탄도미사일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으로 폐기(CVID)하도록 하는 데 합의했다”고 말했다. 고노 외상은 여러 차례 ‘시브이아이디라’는 말을 강조했다. 강경화 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강 장관도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을 3국은 유지한다고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폼페이오 장관은 한 달 넘게 사용하지 않은 “최대의 압박”이라는 표현을 다시 썼다. 그는 이날 아침 고노 일본 외상과 회담한 뒤 트위터에 “오늘 고노 외상과 지역 안정에 초석이 되고 북한에 대해 최대의 압박을 유지하는 미-일 동맹에 관한 건설적 회담을 했다”고 밝혔다. 미국 지도자들은 지난달 1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방미를 전후해 “최대의 압박”이라는 말을 입에 올리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최대의 압박’이란 말은 사용하고 싶지 않다”며 “우리(북-미) 관계를 보고 있잖냐.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만났다. 아베 총리는 “역사적 북-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직접 납치 문제를 제기해준 것에 대해서 감사를 드린다. 앞으로도 일-미가 착실히 연계해서 이 문제를 해결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양국간 파트너십에 대해서 감사를 드린다. 오늘은 나의 북한 방문에 관해서 말하겠다. 북한과 협의에서 여러 과제를 꺼냈고, 핵과 납치 문제 그리고 미-일 세계에 중요한 여러 과제를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도쿄 워싱턴/조기원 이용인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