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 총리가 1998년 10월8일 도쿄 영빈관에서 두 나라 각료들이 참석하는 확대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이날 양국은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에 합의했다. <한겨레> 자료 사진
한국과 일본 정부가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20주년을 맞아 새 공동선언을 발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전했다.
<교도통신>은 26일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한국 정부가 지난 5월 발족한 ‘한-일 문화·인적 교류 태스크포스’와 일본 외무성 산하에 발족할 예정인 ‘한-일 문화 교류 전문가 모임’이 관련 작업을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양국 정부는 한국 태스크포스와 일본 전문가 모임의 제안을 바탕으로 새 공동선언 발표 여부를 최종 판단할 예정이라고 이 통신은 전했다.
<교도통신>은 일본은 전문가 모임 좌장을 외교관 출신으로 문화청 장관을 지낸 곤도 세이치에게 맡길 예정이며, 새 공동선언 발표가 결정돼도 위안부 문제는 다루지 않고 경제·문화적 교류 확대에 중심을 둘 것이라고 전했다.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은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총리가 1998년 10월8일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선언이다. “오부치 총리가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한국 국민에게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안겨주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받아들이며 사죄하고, 김대중 대통령은 오부치 총리의 역사 인식 표명을 평가하고 양국 관계를 미래 지향적 관계로 발전시키기 위해 서로 노력한다고 표명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에는 일본 대중문화 한국 개방도 담겨 있어 양국 교류 증진을 촉진했다.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래 양국 관계에서 중요한 선언으로 평가 받는다.
그러나 한-일 양국이 새 공동선언을 내놓을 수 있을지는 속단할 수 없다. <교도통신>은 역사 문제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커서 실제로 새 공동선언이 성사될지는 미지수라고 전했다. 한국의 ‘한-일 문화·인적 교류 태스크포스’가 민간위원 5명과 외교부 내 인사 3명으로 구성된 것과 달리, 일본의 ‘한-일 문화 교류 전문가 모임’은 민간 인사들로만 구성된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