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인구 감소 등의 탓에 자위대원 지원자가 줄자 연령 제한을 현재의 26살에서 6살이나 올리기로 했다고 <산케이신문>이 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정부가 규칙을 개정해 10월부터 완화된 자위대원 연령 제한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대상은 한국군의 병사에 해당하는 ‘자위관’ 후보생과 부사관에 해당하는 ‘조사’(曹士·부사관) 후보생이다.
자위관은 육상자위대의 경우 1년9개월(기술직 2년9개월), 해상과 항공 자위대의 경우 2년9개월간 복무한다. 조사 후보생은 입대 2년9개월 뒤 한국군의 하사에 해당하는 ‘3조’ 계급을 받고 이후 계급에 따라 53~54살 정년까지 복무할 수 있다. 앞서 방위성은 2016년에도 자위관과 조사 후보생 지원 연령 제한을 24살에서 26살로 2살 완화했다.
이 같은 고육책은 저출산과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입대 희망자가 줄고, 동시에 민간 기업들에서도 인력난이 심해지는 가운데 나왔다. 특히 병사에 해당하는 자위관 모집이 어려워 4년 연속 채용 목표를 채우지 못했다. 지난해 채용 목표는 7513명이었지만 80%밖에 뽑지 못했다. 2016년 해상자위대의 채용 인원은 목표의 59.9%에 불과했다.
방위성은 연령 제한을 32살로 올리면 회사원이나 공무원 근무 경험이 있는 사람도 응시할 수 있어 사람 구하기가 더 쉬울 것으로 기대한다. 방위성은 자위관 응모자 확충을 위한 전담 부서도 설치하기로 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