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7일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위터 갈무리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방북 때 북한과 미국이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북한 비핵화 대상 리스트 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을 벌였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10일 익명의 북-미 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 7일 폼페이오 장관 방북 때 북한과 미국은 2차 북-미 정상회담 조기 개최에는 의견 일치를 보았지만 합의 내용에 대한 진전은 없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폼페이오 장관에게 평안북도 영변 핵시설은 우라늄 농축시설을 포함해서 시설 전부를 폐기하겠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지난 5월에 폭파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미국이 사찰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고 밝혔다고도 전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전쟁 종전선언을 해도 주한미군 철수나 유엔사령부 해체까지 요구하지 않겠다는 뜻도 밝혔다고 전했다. 이런 내용은 대체로 남북 정상의 평양공동선언이나 미국 국무부의 발표 내용에 들어있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은 한국전쟁 종전선언을 위해서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 대상 시설 리스트 제공은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미국도 현재 북한이 취하고 있는 비핵화 조처만으로는 종전선언은 적절하지 않다고 맞섰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 신문은 북한이 종전선언을 하자는 주장을 굽히지 않은 탓에, 한국이 타협안으로 제시한 평양 내 미국 연락사무소 설치는 논의도 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지난 7일 미국 국무부는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이 ‘불가역적으로 해체됐는지’를 확인할 사찰단을 초청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을 포함한 한국·중국·일본 4국 순방을 전후해 ‘핵 리스트 신고’는 입에 올리지 않았다.
또한 <아사히>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이르면 오는 15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만나 협의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6~9일 1271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북-일 정상회담을 ‘되도록 빨리 개최해야 한다’는 응답이 55%에 달했다고 전했다. ‘급하게 개최할 필요는 없다’는 응답은 19%에 그쳤다. 지난 4일 발표된 <요미우리신문> 여론조사에서도 북-일 정상회담을 ‘가능한 한 빨리 개최해야 한다’는 응답이 50%로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46%)를 앞섰다. <요미우리>는 지난 3월 여론조사 때부터 매달 북-일 정상회담 개최 희망 시기에 대해서 질문해왔는데, ‘빨리 개최해야 한다’는 의견이 신중론을 앞선 때는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된 지난 6월과 이달 두 차례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