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아프리카 지부티에 있는 자위대 거점을 영구적으로 유지할 방침을 세웠다고 <산케이신문>이 보도했다. 중국이 첫 국외 해군 기지를 설치한 지부티에 자위대 거점을 계속 유지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케이신문>은 자위대가 소말리아 해적 퇴치를 위한 자위대 활동의 일시적 거점을 지부티에 두고 있는데, 해적 퇴치 활동이 끝난 뒤에도 이 거점을 영구적으로 유지할 방침이라고 15일 보도했다. 자위대는 2009년부터 아덴만 일대에 자주 출몰하는 소말리아 해적 퇴치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호위함 1척과 P3C 초계기 3대를 아덴만 일대에 파견했다. 소말리아 해적 대응 활동을 명분으로 2011년부터 지부티 국제공항 북서쪽에 12㏊ 부지를 빌려 자위대원 숙소와 사무실, 정비 격납고를 설치했다. 자위대 사상 첫 국외 거점이다.
소말리아 해적 활동 때문에 세계 30여국이 아덴만 일대에 군함을 파견했다. 해적 활동이 정점을 찍은 2011년에는 해적 사건 237건이 보고됐다. 하지만 2015년에는 0건, 지난해에도 9건으로 급감해, 자위대의 지부티 거점 유지 명분은 점점 약해지고 있다.
일본은 지부티가 인도양 요충지에 있기 때문에 해적 퇴치 활동이 끝나도 자위대 거점을 지부티에 유지하고 싶어한다. 자위대를 국외에 평화유지군(PKO)으로 파견할 때도 지부티 거점을 물자 수송 경유지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실제로 자위대를 남수단에 평화유지군으로 파견했을 때도 자위대 장비 수송 경유지로 지부티 거점을 8차례 이용했다.
일본이 지부티 기지를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현재 해적 대처를 전제로 지부티 정부와 맺은 지위협정을 개정해야 한다. 일본 정부는 지부티 정부를 설득하기 위해서 자위대가 사용하던 중고 차량 등을 지부티에 제공하고, 이후 정비도 돕는 것을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